시설관리 대상 학교 올해 25개교↑... 공무원법 개정 탓에 인력 100여명↓ 위급 상황시 교사·행정직원 투입도... 道교육청 “연내 인력·운영 방향 결정”
학교 현장의 시설관리 인력 부족으로 도내 학생들이 일상적인 위험에 노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각종 사고가 잇따르면서 안전 관리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는 만큼 시설관리 인력 충원을 통해 학생들의 안전을 확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30일 도교육청에 따르면 올해 기준 도내 시설관리 대상학교는 2천434개교로, 학교 신설 등의 이유로 지난해(2천409개교)보다 25개교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도교육청 소속 시설관리 인력은 1천598명에서 1천502명으로 약 100명이 줄었다. 2013년 국가공무원법 개정으로 기능직공무원이 폐지되면서 더는 인력 충원이 불가하고, 퇴직 등의 이유로 기존의 시설관리 인력마저 사라지고 있는 이유다.
이들은 일선 학교에 직접 배치되거나 각 교육지원청에 설치된 ‘교육시설관리센터’에서 근무한다. 올해는 1천128개교(46.3%)에 시설관리 인력이 배치돼 있으며, 절반이 넘는 1천306개교(53.6%)는 전담 시설관리 인력 없이 각 교육지원청에 설치된 ‘교육시설관리센터’에서 관리·보수 등을 지원받고 있는 실정이다.
더 큰 문제는 대상 학교 증가와 관리 인력의 감소가 맞물리면서 기존에 시설관리 인력이 배치됐던 학교마저 줄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에는 시설관리 대상 2천409개교 중 1천233교(51.8%)에 전담 인력이 배치돼 있었지만, 올해는 2천434개교 중 1천128개교(46.3%)에만 전담 인력이 상주한다. 시설관리 인력이 줄면서 학교를 4~5개씩 담당하는 센터 근무 인력을 늘린 탓이다.
이런 탓에 현장에선 시급한 사안이 발생했을 때 교사나 행정실 직원이 이를 처리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기도 한다.
수원특례시 내 한 초등학교 행정실장은 “학교 내에서 사소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교사나 행정직 직원들이 직접 처리하는 경우도 태반이고, 해결할 수 없는 경우 시설관리센터에 접수한 뒤 한참을 기다려야 하는 등 눈 앞에 위험요소가 있어도 바로 조치하기 어렵다”면서 “학생들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학교 시설의 안전을 담당하는 시설관리 인력은 필수 요소다”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시설관리 인력 부족으로 일선 학교에서 관련 업무에 부담을 느낀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면서 “시설관리에 대한 것은 전반적인 연구용역이 진행 중이다. 올해 중으로 중장기 인력·조직 운영 방향을 결정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한수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