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체육회장을 선출할 선거인 593명이 확정됐다.
경기도체육회장 선거관리위원회가 지난달 30일 추첨으로 정했다. 도 종목단체 363명, 시·군체육회 230명이 포함됐다. 앞서 지난달 14일 1차 선거운영위원에서는 637명이 의결됐었다. 그때보다 44명이 줄어든 최종 선거인단이다. 선거인수보다 예비선거인이 적은 단체들과 중복자 확인 과정에서 줄었다고 선관위는 밝혔다. 이로써 민선 2기 경기도체육회장 선거전에 막이 올랐다.
우리 모두의 기억에 남은 2020년 체육회장 선거가 있다. 초대 민선 회장이라는 기대는 초반부터 만신창이가 됐다. 선거가 끝나자마자 선관위의 당선무효·선거무효 의결이 있었다. 당선인 측의 불법 선거가 이유였다. 사실과 다른 내용의 문자를 선거인들에게 발송했다는 논란이었다. 체육회 소속 직원의 부적절한 선거 업무 처리도 이유였다. 오류가 있는 선거인명부를 임의로 수정했다는 의혹이었다. 이게 다 문제있다고 본 것이다.
표면적으로는 선거 과정의 탈·불법 의혹이다. 하지만 속내는 다르다. 이의를 제기한 낙선자에게 정치적 입장이 있었다. 당시 이재명 경기지사의 지지설이 많았다. 당시 선관위가 이런 정치적 흐름에서 자유롭지 않은 측면이 있었다. ‘반(反)이재명 당선인’에 대한 정치적 공세라는 의혹이 컸었다. 한 달여 뒤 법원은 ‘문제가 없다’고 판결해 마무리되는 듯했다. 하지만 끝나지 않았다. 경기도·도의회에 의한 말도 안 되는 일이 이어졌다.
도가 난데없이 체육회 감사에 착수했다. 체육회 예산을 뭉텅이로 삭감했다. 압권은 도의회가 꺼내 든 황당한 카드다. 체육진흥재단이라는 기관 신설을 추진했다. 민선 체육회를 대체할 기구였다. 결국 여론에 밀려 성사되진 않았다. 그러자 조례를 바꿔 경기도체육회관을 회장에게서 빼앗았다. 회관 운영권을 경기주택도시공사로 이관한 것이다. 모두가 정치에서 출발한 갈등이었음을 모두가 안다. 그 민선 회장 선거가 두 번째다.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가 위탁 받아 관리한다. 3년 전 주먹구구식 운영의 우려는 줄었다. 보다 중요한 건 선거에 나선 당사자들의 준법정신이다. 유력 후보 두 명이 이미 선관위에 출두해 조사를 받았다고 전해진다. 혐의는 ‘문자 발송’으로, 3년 전과 같다. 보름 동안 어떤 불법이 튀어나올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정치 환경도 여전히 불안하다. 도지사의 특정인 지지설은 없다. 하지만 지역 정치권과 연계된 계파설은 여전하다.
초대 민선 체육회의 3년 혼란을 보며 도민이 내린 평이 있다. ‘멀쩡하던 체육회를 왜 선거판으로 만들어 이 분란을 초래하는가.’ 그리고 이 부정적인 관전평은 코앞으로 다가온 민선 2기 선거에도 그대로 연결되고 있다. 1천300만 도민의 체육을 대표할 회장을 뽑는 선거다. 정치를 떼어 낸 순수 체육 지도자를 뽑는 선거다. 불법 없는 후보, 정치 없는 후보가 돼야 하지 않겠나. 3년 전 첫 민선보다 지켜보는 눈이 훨씬 많아졌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