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에 기부금을 전달하려고 지난 5일 오산시청을 찾았던 A씨(58·오산시 궐동)는 당혹스러웠다.
다음날에야 시청과 농협직원의 도움을 받아 겨우 기부금을 전달할 수 있어서다.
A씨는 “고향에서 농사 짓는 부모님 생각에 즐거운 마음으로 기부하려고 했는데 절차가 너무 복잡하고 어려워 당황했다”며 “보다 쉽게 하는 방법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정부가 지난 1일부터 본격 시행 중인 ‘고향사랑기부제’의 기부 방법 절차가 복잡해 보완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특히 인터넷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중·장년층은 기부하고 싶어도 하지 못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실제 행정안전부의 ‘고향사랑e음기부자 안내’ 설명서에 따라 기부를 하려면 회원 가입(약관동의, 본인인증, 회원정보입력)→기부하기(기부지자체 선택, 주소확인, 기부자정보입력(휴대폰, 이메일 주소)→위택스 납부(금융인증서 발부, 전자납부번호 입력)→답례품 구매하기 등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
은행에서 신청서를 작성하고 기부하는 방법도 있으나 ‘고향사랑e음’에 가입해야만 답례품과 세액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 복잡하기는 매한가지라는 것이다.
인터넷 금융거래 처음 하거나 익숙하지 않은 주민은 절차가 복잡하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인터넷 사용이 서툰 주민은 제3자의 도움 없이는 기부를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제도의 단점이 노출되고 있다.
건전한 기부문화를 조성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방재정 확충을 목표로 추진하는 고향사랑 기부제가 정착하기 위해선 보다 쉽고 다양한 기부방법을 고민해야 하는 대목이다.
오산시 관계자는 “제도가 처음 시행된 만큼 앞으로 시행 과정에서 돌출되는 문제점을 보완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1일부터 시행 중인 고향사랑기부제는 개인이 타 지자체에 연간 500만원 한도로 기부하면 기부액의 30%를 답례품(지역특산품)으로 받고 최대 16.5% 세액 공제를 받는다.
현재 오산시는 정영철 충북 영동군수와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기부금을 전해 왔으며 이권재 시장도 전남 진도군과 목포시에 기부금을 전달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