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조간신문마다 ‘브라질 사태’를 보도했다. 대선 불복 세력이 만든 난장판 모습이다. 전임 대통령 지지자 수천명이 주요 기관에 난입했다. 습격 당한 곳은 대통령궁, 연방의회 의사당, 연방 대법원이다. 특히 대통령 집무실에서는 방화와 서류 탈취까지 일어났다. 지난해 10월 대선에서 야당 후보인 룰라가 1.8%포인트 차로 이겼다. 이에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이 대선 불복에 불을 지폈고, 그를 따르는 지지자들이 이날의 폭동을 주도하게 된 것이다.
우리가 브라질 내부의 정치 환경을 함부로 말할 순 없다. 대선 불복 세력을 무조건 폭도로 규정하는 것도 위험하다. 단지, 브라질 사태에서 우리가 챙겨야 할 교훈을 생각하자는 것이다. 정치·정치인이 나라를 갈라치기한다면 그 피해는 오롯이 국민에게 전가된다. 공교롭게 우리 눈앞에서 그런 모습이 펼쳐졌다. 10일 오전 수원지검 성남지청 앞이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소환을 두고 지지 단체와 비판 단체가 서로 팽팽하게 대립했다.
정문 앞쪽에는 이 대표를 지지하는 민주시민촛불연대 회원들이 모였다. 파란색 풍선을 들고 구호를 외쳤다. ‘표적 수사’, ‘이재명 죽이기 중단하라’. 도로 건너편에선 이 대표의 구속 수사를 주장하는 애국순찰팀 및 신자유연대 등이 맞시위를 했다. ‘이재명 구속’ 등의 현수막을 펼쳤다. 대형 스피커를 동원한 비판 방송도 틀었다. 붉은색 깃발을 든 이 단체들은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법 집행을 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경찰 추산 1천500명에 이른다.
이 대표의 혐의는 성남FC 광고후원금 의혹이다. 두산, 네이버, 차병원 등 6개 관내 기업으로부터 160억원을 받았다는 것이다. 검찰은 이를 제3자 뇌물이라 보고, 이 대표는 ‘개인적 이익이 없다’며 반박하고 있다. 성남지청은 이런 법률적 판단이 이뤄지는 수사 기관이다. 그런데 그곳에 울려 퍼진 것은 정치 구호다. 양쪽 진영의 세 대결이 펼쳐졌다. 다분히 정치가 선동한 측면이 강하다. 민주당 지도부가 총출동했고, 보수 성향 단체의 기획도 있다.
브라질 사태 비교를 침소봉대라 여길 수도 있다. 하지만 정치가 조장하고, 정치와 연결하는 메커니즘은 다를 게 없다. 더구나 우리 기억에 생생한 장면이 있다. 2019년 가을 하늘을 덮었던 조국수호·검찰수호 집회다. 서초동검찰청사 앞에 조국 지지자 수십만명이 모였다. 광화문에는 검찰 수사를 지지하는 인파가 역시 수십만명 모였다. 그 결과는 2년 뒤 정치로 연결됐다. 조국은 추락했고, 검찰총장은 대통령이 됐다. 그게 또 재연되는 듯 하다.
보수·진보 공히 자각해야 한다. 국론 분열을 도모하는 정치는 반드시 망한다. 나라와 국민까지도 파국으로 이끈다. 성남FC 의혹은 진행 중인 수사다. 비슷한 유형의 탈불법 경계를 정의해야 한다. 꼭 제1야당 대표 수사가 아니어도 지방정부의 관심이 많다. 혐의가 증명되면 기소하는 것이고, 혐의가 없으면 불기소하는 것이다. 그에 대해 내놓을 정치적 목소리가 있다면 그건 여의도에서 하면 된다. 정치도, 이념도, 성남지청을 떠나라.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