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인재평생교육진흥원, 인천시민대학 ‘시즌 2’ 속도

캠퍼스 운영 기관 공모

image
인천인재평생교육진흥원 전경. 진흥원 제공

 

인천인재평생교육진흥원이 올해 ‘인천시민대학’ 사업을 본격화한다. 지난해에 이은 ‘인천시민대학 시즌2’다.

 

진흥원은 16일 인천시민대학 캠퍼스를 구축하고 운영할 대학 및 부속기관 8곳을 지정하기 위한 ‘2023년 인천시민대학 시민라이프칼리지 대학캠퍼스 운영’ 모집 공고를 했다.

 

이번 모집 공고는 지난해보다 2개월여 빠르다. 진흥원은 다음달 8일까지 6개 대학캠퍼스를 운영할 기관을 접수한 뒤, 다음달 중 기관을 지정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시민 학습자 모집 과정을 거쳐 3월에는 입학식과 함께 개강을 할 예정이다.

 

인천시민대학의 6개 대학캠퍼스는 온시민캠퍼스, 청년시민캠퍼스, 가족시민캠퍼스, 처음시민캠퍼스, 선배시민캠퍼스, 세계시민캠퍼스 등으로 이뤄진다. 캠퍼스별 사업비 지원 규모는 약 2억원 안팎이며, 세부 교육과정 운영 및 기준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이들 6개 캠퍼스는 각 기관이 보유한 교수(강사)진과 시설 등을 활용해 인천지역학 등의 공통 과정과 캠퍼스별 특성화 강좌 등을 운영한다. 진흥원은 지난해보다 새롭고 유익한 커리큘럼을 연간 150시간 이상 구성하도록 할 계획이다.

 

image
인천인재평생교육진흥원이 지난해 4월12일 인천시청 중앙홀에서 인천시민대학 시민라이프칼리지 출범식이 열리고 있다. 진흥원 제공

 

진흥원은 지난해 대한민국 지방재정대상 국무총리상 수상 사업으로 뽑힌 시민대학은 사업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올해부터 대학캠퍼스를 연속 지정한다.

 

진흥원은 시민대학 학습자 참여 목표를 지난해 3천명에서 올해는 5천명으로 확대했다. 또 명예시민 석사과정을 도입하는 등 평생학습 지속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다채로운 캠퍼스 운영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진흥원은 지역 평생교육 균형발전과 사각지대 없는 교육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현재 대학 캠퍼스 뿐만 아니라 공공기관 캠퍼스와 민간기관 캠퍼스로 대상을 추가·확대해 운영기관을 모집하고 있다.

 

진흥원 관계자는 “시민들에게 생활 맞춤형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등 대·내외적으로 혁신적인 평생교육 플랫폼으로 평가받겠다”고 했다.

 

한편, 진흥원은 지난해 4월 본부캠퍼스를 중심으로 인천지역 8개 대학과 함께 6개 대학캠퍼스를 시작으로 15개 시민대학캠퍼스를 성공적으로 운영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