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 인구소멸, 사라져 가는 농촌

image
박문신 여주지역자활센터장

시골, 아이들이 사라진다. 초등학교는 사라져 가고 읍·면도 소멸돼 간다. 어찌 이리 빨리 풍속이 변할 수 있을까. 적응이 쉽지 않다. 사라져 가는 삶의 풍경들을 이리 보고만 있어야 하는 걸까?

 

지난해 12월 기준 여주시 통계자료에 따르면 그해 태어난 아이가 554명이라고 한다. 사망자 수는 934명이다. 한번 더 비교해 보자. 10년 전 900명대이던 출생아 수가 2022년에는 500명대로 줄어들었다. 상상에 맡기겠다.

 

우리 지역에는 8개의 면이 있다. 이곳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기 그지없다. 학생 수는 급감하고 폐교가 늘어간다. 아이가 적다 보니 보육 혹은 방과 후 돌봄 체계는 거의 무방비 상태고 아이들 울음소리도 듣기 어렵다.

 

마을에서는 60대가 청년이요 회관에서는 70대가 막내라고 한다. 문제의 심각성은 20, 30년 뒤 더 적나라하게 드러날 것이다. 노인들이 자연적으로 사라지면 지역은 소멸이라는 것이다. 즉, 조만간 농촌은 새로운 세상을 만나게 된다. 지금은 아이들 소리가 사라졌지만 앞으로는 노인들 모습도 보기 어려워지는 것이다.

 

정말로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국가적으로 사회적으로 엄청난 충격을 불러올 것이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그저 입으로만 떠들고 남 이야기하듯 흘려보내고 있다. 국가의 존망이 걸려있는데 말이다.

 

대책을 세워야 하는데, 실천을 해야 하는데 눈 가림식, 눈에 보이는 대중적 쇼(현금 살포만)에만 급급하다. 알고도 방치하고 있음이 분명하다. 더 늦기 전에 바짝 긴장해야 한다. 해결을 위해 우리는 앞으로 인구정책 수립 시 두 가지 방향으로 고민해야 한다.

 

하나는 인구 수 자체에 대한 정책이다. 저출산 고령화, 많은 사람이 이야기하고 있고 이제는 대다수가 알고 있는 사실이다. 이런데도 방임하고 있다.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 부분이다.

 

또 다른 하나는 인구정책. 인구 추이에 따른 정책을 세워야 한다. 인구를 늘리고 줄이고의 정책이 아니라 인구 규모에 따라 수립해야 하는 정책 말이다. 특히 지방은 인구소멸도시라는 용어가 오르내리는 중대한 시점을 맞이하고 있다. 출산율을 높이는 정책과 더불어 인구 추이에 맞는 도시정책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기라고 본다. 예산을 잘못 쏟아부으면 결국 미래 세대에 짐이 될 뿐이다.

 

방법을 어떻게? 해답은 있다. 누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다느냐는 문제일 뿐이다. 정부의 책임과 역할이 크겠지만 민(民)과 언론도 함께 공감대를 만들어 가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