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실력 없고 부패한 후보 퇴출해야/동시조합장선거, 32만명의 선택

안성 축협의 지난해 매출액은 740억원이다. 학교급식을 통한 매출만 257억원이다. 학생 소비가 전체 35%에 달하는 셈이다. G마크로 경기도 공인까지 받았다. 이곳에서 탈·불법적인 제품 관리가 드러났다. 냉동 축산물이 냉장실에 보관되고 있었다. 냉동시설이 부자재 보관 창고로 쓰이고 있었다. 유통기한이 틀리게 표기됐다. 유통기한 지난 축산물이 냉장실에서 발견됐다. 영업정지 110일의 행정 처분이 내려졌다. 형사 처벌은 경찰이 수사하고 있다.

 

지난해 경기도특별사법경찰단이 단속했다. 사정을 잘 아는 내부 고발이 있었다고 알려진다. 내부 고발의 배후로는 곧 치러지는 3·8 전국동시조합장선거가 지목되기도 한다. 이번 선거는 선관위가 주관·감독하게 된 이후 3회째다. 자체적으로 치르던 과거 선거와 많이 다르다. 선관위의 통제로 규제와 공정성이 엄해졌다. 동시 실시로 전국적 관심도도 높아졌다. 후보군의 범위도 넓어졌고, 면면의 역동성도 커졌다. 지금은 막판 선거인명부 작성 중이다.

 

경기도내 조합만 180개다. 여기에 대표 180명을 뽑는다. 조합원이 32만5천903명이다. 조합원이어야 후보가 될 수 있고, 투표도 할 수 있다. 분포 지역은 도시 농촌 구분 없이 촘촘하다. 농협(축협), 수협은 도민 먹거리와 직결되는 조직이다. 농·수·축산물의 제품관리, 가격형성 등에 절대적 영향을 미친다. 파행을 겪은 안성 축협의 예가 그 증명이다. 학생 먹거리로 1년에 257억원어치나 공급됐다. 그 관리에 문제가 있었다. 해당 지역이 방대하다.

 

여기에 지역 농협의 여·수신 탈·불법도 많다. 안성 고삼농협에서 착복 사건이 터졌다. 직원이 잡곡을 매입한 것처럼 꾸며 5억원을 빼갔다. 파주의 한 농협에서도 무려 70억원의 돈을 빼돌린 직원 사건이 발생했다. 광주시 오포농협 직원이 50억원, 수원 축협 직원이 7억원을 빼돌리는 등 횡령 사건이 발생했다. 지난해 일어났거나 지난해까지 이어진 범죄만 봤을 때 이렇다. 일반 금융권과 비교할 수 없는 범죄 빈도다. 조합금융 역시 조합장의 절대 권한이다.

 

이 모든 게 관습, 온정주의가 낳은 부작용이다. 그 배경에 ‘그들끼리 선거’가 있었다. ‘선물 돌리고 찍어주는’ 선거였다. 그를 통해 부패와 비합리가 대물림됐다. 그 선거가 선거관리위원회로 넘어 온 지 세번째다. 이제 바뀌어야 한다. 조합장의 면면이 바뀌어야 한다. 180개 조합 선거의 정보를 우리가 다 알지는 못한다. 하지만 돼야 할 후보와 돼서는 안 될 후보의 일반 조건은 제시할 수 있다. 깨끗하고, 능력 있는 후보가 돼야 한다. 부패하고, 실력 없는 후보는 되면 안 된다. 냉정히 보면 보인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