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허술한 지진대피소, 시설 확충하고 관리∙홍보 신경써야

최근 튀르키예와 시리아를 덮친 규모 7.8의 강진으로 4만7천여명이 생명을 잃었다. 사고 수습이 한창인 가운데 규모 6.3 등 여진이 수십차례 발생해 사상자가 계속 늘어나는 안타까운 상황이다. 이번 튀르키예 강진은 7천400km 떨어진 한반도에서 체감하고 관측될 정도로 엄청났다. 전문가들은 한결같이 “한반도는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다”라고 얘기한다.

 

기상청의 ‘2022 지진연보’에 따르면 국내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 지진은 2018년 115건, 2019년 88건, 2020년 68건, 2021년 70건, 2022년 77건이다. 매년 70여건의 지진이 발생하고 있다. 지난달 9일에는 인천 강화도 서쪽 해역에서 규모 3.7의 지진이 발생했다. 지난해 10월 괴산에선 규모 4.1의 지진이 발생했고, 2017년 포항 지진의 규모는 5.4나 됐다.

 

우리나라도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전문가 의견과 함께 지진 피해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지진은 단기 예보가 불가능해 사전 대비가 필요한데 전반적으로 너무 허술하다. 지진 위험도에 비해 건물 등의 내진설계가 부족하고, 대비 훈련도 거의 안 한다. 지진대피소가 있다는데 주민들은 안내판이 없어 어디에 있는지도 모른다.

 

길을 걷다 지진이 나면 어디로 가야 할까? ‘떨어지는 구조물에 맞지 않는 공터 어딘가로 가야 한다’ 정도는 아는 이들이 있다. 그러나 즉시 몸을 피해야 할 ‘지진대피소’를 떠올리는 사람은 별로 없다. 지진대피소를 들어봤다 해도, 어디에 있는지 찾기 어렵다. 안내표지판도 제대로 없고, 관리가 엉망이기 때문이다.

 

행정안전부는 ‘지진 옥외대피장소 지정 및 관리지침’에 따라 각 지자체가 지진 발생 시 주민들이 낙하물로부터 안전한 야외 장소로 일시 대피할 수 있도록 지역 내 운동장, 공원 등을 지진 옥외대피장소로 지정·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경기도내 지진대피소는 1천500여곳으로 알려져 있다. 수원·용인시 등은 100곳이 넘는데 과천·구리시 등은 10여곳에 불과해 지역별 편차가 크다. 그나마 옥외대피소에 안내표지판이 설치되지 않은 곳이 많다. 부족한 대피소를 내실있게 운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경기도와 각 시·군은 지진대피소 실태를 긴급점검할 필요가 있다. 주민 대피가 쉽도록 접근성을 고려해 지진대피소를 확충해야 한다. 안내판 설치 등 홍보도 강화해야 한다. 건물 붕괴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개방형 ‘옥외대피소’ 외에 주거지가 파손된 이재민들이 거주하는 ‘실내구호소’도 마련해야 한다. 경각심을 갖고 총체적 점검 및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