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주민수용성에 갇힌 해상풍력… 명확한 매뉴얼 있어야

인천은 국내 3위의 반도체 수출 도시다. 반도체 후공정 세계 2·3위인 앰코코리아와 스태츠칩팩코리아도 인천에 있다. 이런 저력을 바탕으로 인천시는 정부의 반도체 특화단지 공모에 도전하고 있다. 반도체 후공정 분야를 인천의 미래 먹거리로 꼽은 것이다. 그런데 반도체 산업에 필수적인 인프라 확보가 걱정이라고 한다. 바로 재생에너지를 통한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다. 특화단지를 따내고 세계 유수의 반도체 기업이 들어와도, 전력이 부족하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반도체 산업은 본래 전력 수요가 크다. 여기에 이미 ‘RE100’이 산업 생태계로 자리잡아 있다. 사용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것이다. 일반 전력으로 생산한 반도체 제품은 수출에 큰 제약을 받는다. 삼성전자는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만 사용한다는 ‘2050 RE100’ 선언을 내놓았다. 인천시도 반도체 특화단지 유치 계획서에 전력공급대책을 넣었다. 덕적·자월도 등 인천 앞바다에 추진 중인 해상풍력발전이다. 인천시는 인천 해역에서 생산 가능한 해상풍력발전 발전 용량을 최대 3천673㎿로 보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인천 앞바다의 해상풍력발전 사업은 답보 상태다. 주민 수용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워서다. 이는 곧 반도체 산업 육성의 걸림돌로 이어질 수 있다. 지난해 오스테드코리아와 남동발전이 정부에 해상풍력발전 면허를 신청했다. 둘 다 반려됐다. 주민 수용성 부족이 이유였다. 현재 인천 앞바다에서 해상풍력발전 사업을 위한 풍향계측 허가를 받은 곳은 11곳이다. 그러나 대부분 주민 수용성 문제에 걸려 제자리걸음이다. 해상풍력뿐만이 아니다. 인천 반도체 산업의 배후단지인 남동산단 역시 전력 공급이 불안정하다. 민간사업자가 19.8㎿급 수소연료전지발전소를 추진해 왔다. 이 역시 주민 반대에 부딪혀 발전사업 허가조차 받지 못하고 있다.

 

반도체와 마찬가지로 해상풍력도 인천의 미래 자원이자 기회의 영역이다. 특히 인천 해역은 해외 에너지 기업들도 인정하는 해상풍력의 최적지다. 이런데도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해 반도체특화단지에까지 핸디캡이 된다면 아쉬운 일이다. 해상풍력발전 등 재생에너지는 이제 외면할 수 없는 시대적 큰 흐름이다. 현재 해상풍력 등에 있어서의 주민 수용성 확보는 우선 명확한 매뉴얼이 없다는 게 가장 큰 문제다.

 

해상풍력 사업체도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난감할 뿐 아니라 주민들 간 갈등의 소지까지 낳고 있다. 인천으로 찾아오는 반도체나 에너지기업들이 인천시에 대해 거창한 지원을 바라는 게 아니다. 주민 수용성 확보를 위한 명확한 로드맵과 매뉴얼, 이것만으로도 충분히 족하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