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Q 71∼84 사이 돌봄·교육 ‘사각’... 도내 20만명, 학교생활 적응못해 전문가 “교육청·학교 등 관심 절실”
#1. 경계선 지능을 가진 고교생 A양(용인특례시 거주)은 새 학기가 시작되는 게 두렵기만 하다. 학교에 간 뒤 줄곧 말이 느리고 답답하다는 이유로 따돌림을 당해 왔던 A양은 일부러 집에서 1시간 거리의 고교로 진학했지만, 달라진 건 없었다. 하루 종일 말 한마디 내뱉지도 못하고 집에 오기 일쑤였고, 학습 과정을 따라가는 것도 벅찼다. 하지만 이런 모습은 학교에서 공격과 조롱의 빌미가 됐을 뿐, 아무도 A양의 학습 속도를 기다려주지 않았다.
#2. 올해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경계선 지능 아동 B군(시흥 거주) 역시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특수학교는 지적장애 아동보다 지능 수준이 높다는 이유로 우선순위에 밀려 탈락했고, 특수교사가 있는 일반 학교 도움반도 대상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들어갈 수 조차 없었기 때문이다. B군의 어머니는 B군이 학교에 적응할 수 있도록 매주 언어·인지 치료를 받게 하고 있지만 , 한 달에 100만원 가까이 나가는 치료비로 경제적 부담이 크다.
경기도내 경계선 지능 학생들이 맞춤형 교육과 돌봄을 받지 못한 채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경계선 지능인은 지능지수(IQ)가 71∼84 사이로 학교와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겪는 사람을 말한다. 이들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경계에 있어 지능지수(IQ)가 70 이하인 지적장애인과 달리 특수학교 등 맞춤형 교육체계가 전혀 없는 실정이다.
1일 도와 도교육청에 따르면 지능지수 정규분포도를 기준으로 전체 학생 인구의 약 13.6%를 경계선 지능인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를 도내 학령인구(150만5천507명)에 적용하면 약 20만명의 학생들이 경계선 지능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현행 공교육 체계 내에서는 이들을 위한 특화된 맞춤형 교육이 전무하다.
서울의 경우 경계선 지능 학생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교육을 하는 대안학교 2곳이 운영 중이지만, 도에는 관련 교육시설은 물론 지원 제도도 마련돼 있지 않다.
그나마 차선책으로 불리는 ‘특수교육’ 역시 장애 아동만을 관리하기에도 부족한 상황이라 경계선 지능을 이유로 도움을 받긴 어렵다.
도교육청에서는 지난 2013년부터 운영 중인 학습종합클리닉센터 25곳 중 12곳을 기초학습지원센터로 전환해 경계선 지능 아동 등 학습장애로 인한 고충을 겪는 학생들을 통합 지원하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이 같은 센터는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장애 등의 전반적인 과정을 지원하는 것일 뿐이라 경계선 지능 학생들을 위한 전문적 지원체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서윤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교수는 “경계선 지능 아동의 경우 단순히 지능지수만을 가지고 판단하기 힘들어 가정이나 학교에서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도 있다”며 “경계선 지능 아동의 경우 조기 치료하게 되면 충분히 발달을 유도할 수 있는 만큼 교육청과 학교에서 관심을 갖고 지원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