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 GB內 무허가 동물 임시보호소 운영… 보호센터 시급

image
부천시가 유기 반려동물을 개발제한구역 내 무허가 공간에서 임시로 보호하고 있어 동물보호센터 건립이 시급하다. 사진은 시흥시 동물누리 보호센터 건물. 시흥시 제공

 

부천시가 유기 반려동물을 개발제한구역 내 무허가 공간에서 임시로 보호하고 있어 동물보호센터 건립이 시급하다.

 

12일 부천시에 따르면 시는 지역 내 유기 반려동물의 임시보호를 위해 동물병원 3곳을 지정 위탁하고 있지만 유기 반려동물 중 대형 개는 기존 동물보호센터로 위탁 운영되는 동물병원 규모가 작아 위탁을 맡지 않는 사례가 빈발하고 있다.

 

시는 궁여지책으로 작동 부천자연생태공원 뒤편 시 소유 개발제한구역에 무허가로 수년 전부터 가설 건축물(비닐하우스)을 짓고 버려진 대형 개 10여마리를 임시 보호하고 있다.

 

하지만 시는 해당 임시보관소가 정식 동물보호센터가 아닌 점을 감안해 인근 산 등산객들로부터 개 짖는 소리와 냄새 등 민원이 우려된다고 판단해 비닐하우스 외부는 검은 천으로 둘러싸 내부를 볼 수 없게 해 겉으로는 동물보호소가 아닌 평범한 비닐하우스처럼 꾸며 놓았다.

 

image
부천시가 유기 반려동물을 개발제한구역 내 무허가 공간에서 임시로 보호하고 있어 동물보호센터 건립이 시급하다. 사진은 시가 작동 자연생태공원 뒤편 개발제한구역에 무허가로 설치한 임시보호소. 김종구기자

 

이 때문에 버려진 대형 개들은 햇빛조차 보지 못하는 열악한 환경에서 보호되고 있으며 정식 동물보호센터가 아니어서 산책할 수 있는 공간은 엄두도 못 내는 등 동물복지도 저해하고 있다.

 

이런 상황을 시만 탓할 수도 없는 상황이다. 동물보호센터는 인근 주민들의 민원이 많아 장소 선정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선 반려 동물 수가 꾸준히 늘면서 유기 동물도 증가하고 있어 지자체 차원에서 유기 반려동물을 관리할 수 있는 직영 동물보호센터 설립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시민 A씨(34·부천시 오정동)는 “인구 80만이 넘는 대도시에 직영 동물보호센터 하나 없다는 게 말이 안 된다”며 “반려동물은 계속 늘고 유기 동물도 증기하고 있어 동물복지 측면에서도 하루빨리 동물보호센터가 건립돼야 한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대형 개만 임시보관소가 보호하고 있으며 수의사가 수시로 돌보고 있다”며 “직영 동물보호센터 건립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시의회와도 예산 확보 공감대가 형성돼 조만간 건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