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 갈매 주민을 중심으로 한 시민들이 지역 내 숙원 사업인 ‘GTX-B 갈매역 정차’를 위한 청원에 불을 지피고 나섰다.
14일 시와 구리 갈매신도시연합회 등에 따르면 연합회 등 시민단체는 최근 ‘GTX-B 갈매역 정차’를 촉구하는 주민 청원서를 시에 제출했다.
이번 청원에는 7천여 명이 서명했으며 GTX-B 노선의 구리 갈매지구와 현재 개발 진행 중인 갈매역세권공공주택지구 통과로 소음, 진동, 분진 등 주민 피해가 불보듯 뻔 한 상태에서 대심도(지하 40~50m 구간의 터널) 통과가 마땅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운 점을 감안, 갈매역 정차로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만약 이를 무시한 사업 추진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강력한 집단 행동까지 예고하는 내용도 담고 있다.
갈매연합회의 한 관계자는 “2025년 말 마석∼상봉간 셔틀열차가 투입되면 현재 배차 간격 20여 분에서 12분대로 열차를 이용할 수 있으나 2030년 GTX-B가 개통되면 경춘선로 포화 문제로 셔틀 열차는 다른 노선으로 투입될 수 밖에 없다”면서 “이럴 경우, GTX-B마저 갈매역에 정차하지 않는다면 배차 간격은 다시 늘어나게 되는 등 근시안적인 교통 정책으로 결국 구리시민들만 피해를 볼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앞서 구리시는 도로 정체에 따른 피해가 고스란히 시민들의 몫으로 되돌아 올 수 밖에 없는 현실에 따라 백경현 시장이 직접 나서 국토교통부 등 관계기관을 상대로 GTX-B 갈매역 정차에 따른 소요 비용까지 감수하겠다는 의지로 갈매역 정차에 시력을 집중하고 있다.
연합회는 이번 집단 청원서를 구리시 뿐만 아니라 국토교통부와 우선협상대상자인 대우건설 컨소시엄과 재무 주관인 신한은행까지 전달하는 등 전방위적 압박에 나서고 있는 모양새다.
한편, GTX-B 노선 민간투자시설사업은 국토교통부가 ‘대우건설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올해 실시협약을 거쳐 2024년 상반기 실시 설계 및 착공 후 2030년 준공 예정으로 추진되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