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서비스 포화상태로 미활용... 사전협상 결과 ‘수익사업 긍정’ 공공기여금 730억, 토지 계획 변경, 이달 행정절차… 2026년까지 건립
약 26년 동안 방치된 수원의 ‘노른자 땅’이라 불리는 영통구 종합의료시설부지가 5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 단지로 탈바꿈될 전망이다.
이 과정에서 공공기여금 730억원을 확보한 수원특례시는 영통지역 각종 시설에 대한 개선에 나선다.
김종석 수원특례시 도시정책실장은 16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의 ‘영통지구 종합시설부지 사전협상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1997년 영통지구 조성 과정에서 설계된 총 3만1천376㎡ 규모의 종합의료시설부지(영통동 일원)는 학교법인 을지학원의 소유다. 윌스기념병원 등 관내 종합병원이 들어서 의료서비스가 포화 상태(2020년 수원시정연구원 연구 결과)인 만큼 해당 부지는 26년째 활용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을지학원 등은 해당 도시계획시설을 공동주택용지, 의료시설용지 등으로 바꾸는 내용의 지구단위계획 변경 주민제안서를 시에 제출했다. 이에 따른 특혜 의혹을 해소하고자 시는 지난 2021년 6월부터 올해 1월까지 전문가, 시민단체, 민간 사업자 등이 참여하는 사전협상제도를 운영했다. 이는 도시계획시설 변경 과정에서 민간 사업자로부터 공공성을 확보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시는 총 5차례의 사전협상제도를 추진하면서 주민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수익사업 허용 및 공공성 확보에 동의한다’는 의견이 89.9%로 도출되는 등 긍정적인 반응이 나왔다. 이에 시는 종후 감정평가액(2천169억원)과 종전 감정평가액(978억9천300만원), 수원시 공공기여 가이드라인(60%) 등을 토대로 730억원의 공공기여금을 산출했고 토지이용계획 변경을 확정했다.
시는 이달부터 지구단위계획 입안 등 행정절차를 이행한다는 방침이다. 민간 사업자는 지구단위계획 확정 후 3년 이내에 착공에 들어가야 하는 만큼 2026년 말까지 550~580세대 아파트를 지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이행하지 않으면 이 땅은 기존의 도시계획시설(종합의료시설부지)로 회귀한다.
이런 가운데 시는 공공기여금 730억원을 ▲영통도서관 리모델링 ▲생태보행육교 조성 ▲영흥중앙공원 개선 ▲영통 어린이교통공원 보수 ▲보행자 전용도로 개설 등 6개 사업에 사용한다는 방침이다.
김종석 실장은 “사업자 이익이 과다할 경우 공공기여금 비율을 높이도록 하는 내용의 본계약을 추후 체결하도록 하겠다”며 “해당 토지가 개발되면 도심지역 공간 단절 등 여러가지 도시 문제가 해소되고 지역환경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도시계획변경 사전협상제도 법제화를 추진 중인 시는 추후 참여자에 주민들 역시 포함한다는 계획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