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두천이 죽어가고 있다. 미군이 빠져나간 후 폐업과 불황으로 상권이 무너져 지역경제가 파탄 지경이다. 인구는 급격히 감소해 지역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
동두천은 군사도시와 기지촌이라는 부정적 이미지가 씌워졌지만, 한때 ‘돈두천’이라 불릴 만큼 황금기를 누렸다. 그러나 지역을 먹여 살리던 미군 2만여명이 평택기지로 이주하면서 상권이 몰락해 유령도시로 변모하고 있다. 주민들은 먹고살기 힘들다고 아우성이다. 여기에 미군공여지 반환이 수년째 지연돼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다.
동두천시의회가 “죽어가는 동두천! 대한민국이 살려내라”고 강력 요구하고 나섰다. 시의회는 21일 김승호 의장이 대표 발의한 ‘동두천시 특별지원 촉구 결의문’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의장과 시의원 전원, 박형덕 동두천시장 등은 본회의장에서 피켓을 들고 동두천의 70년 넘는 안보 희생에 대한 합당한 보상을 주장했다.
동두천에 주둔했던 미군 대부분이 지역을 떠났다. 이로 인해 미군 의존적인 산업구조가 무너졌다. 지역 내 400여개에 달하던 미군 관련 점포들은 2018년까지 120여개로 감소했다. 현재는 100개가 안 된다. 가게들이 문을 닫으면서 동네가 페허처럼 변했다. 남아 있는 가게들도 운영이 안 돼 생계를 위협받는 상황이다.
동두천에서 미군이 사용했던 공여지 면적은 시 전체 면적(95.66㎢)의 42.47%(40.63㎢)에 달한다. 이 중 57%(23.21㎢)가 미군기지 평택 이전 등으로 반환됐다. 문제는 반환된 면적의 대부분(22.93㎢)이 산지여서 활용가치가 극히 제한적이라는 점이다. 실제 0.23㎢ 부지만 대학 캠퍼스와 군부대 관사 등으로 개발된 상태다. 지리적으로 핵심적인 땅은 미군이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동두천 중심에 있는 캠프케이시와 캠프호비는 반환 자체가 불투명하다. 공여지 반환 지연으로 인한 개발 차질은 지역 발전의 발목을 잡는 요인이다.
시 면적의 절반가량이 미군 공여지여서 각종 중첩규제에 묶인 동두천은 미군 의존형 서비스업 외에 자생적 경제발전의 기회가 없었다. 미군이 빠져나간 동두천은 상권이 몰락해 파탄에 이르고 인구는 9만명으로 줄었다. 대한민국 안보를 위해 희생한 대가는 없었다. 미군기지가 이전한 평택에는 특별법을 만들어 수조원의 예산을 지원하면서 안보의 희생양이었던 동두천에는 지원이 없었다. 주민들이 분노할 수밖에 없다.
시의회는 결의문을 통해 △동두천 국가산업단지 개발 비용 국비 지원 △국가산단에 반도체 등 첨단산업 입주 조치 △‘동두천 지원 특별법’ 제정 △미반환 공여지 즉각 반환 및 환경치유 비용, 반환 공여지 개발 비용 정부 지원 등을 요구했다. 정부는 더 이상 무관심과 방관으로 일관하면 안 된다. 동두천시의 주장대로 합당하고도, 당연한 보상 조치를 해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