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 소각장 위탁업체 선정 중단…2차피해 현실화

구리시 자원회수시설(소각장) 전경. 구리시 제공

 

구리시가 자원회수시설(소각장) 운영·관리 위탁 관련 신규업체를 제때 선정하지 못하면서 2차 피해가 우려된다.

소각장 운영관리업체 종사자들의 고용 불안에다 물가 인상분을 반영한 올해분 임금협상까지 늦어지고 있어서다. 

 

소각장 위탁업체 선정은 시가 입찰업무과정서 일부 서류 하자건 제기 등으로 경찰에 수사가 의뢰되면서 수개월째 중단(경기일보 2월22일자 10면)된 상태다.

 

23일 구리시와 운영업체인 A사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말 위탁비용 184억7천132만원7천원 규모로 올해부터 향후 3년 간 소각장과 재활용선별장 운영·관리를 위한 위탁업체 선정절차를 진행했다.

 

하지만 입찰업무를 진행하던 중 3개사가 공동으로 참여한 B컨소시엄 관련, 입찰 서류에 일부 문제(허위)가 있다는 내용의 민원을 접수 받고 관련 업무를 중단한 채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상황이 이렇자 시는 기존 위탁 업체인 A사로 하여금 임시방편으로 소각장 운영관리업무를 대행하게 하고 있으나 수개월 동안 올해 임금 인상분 반영 등 별도 지원책을 마련치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A사는 종사자 80여명에 대한 임금 현실화(지난해 대비 8~10% 인상방안 등)에 나서지 못하면서 심한 내홍을 앓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게다가 대부분의 종사자들은 새 위탁업체 선정시 고용승계를 기대하고 있지만 장담할 수 없는 상황으로 고용불안까지 떠안고 있다.

 

A사 관계자는 “지난해의 경우 4% 정도 임금 인상분이 반영된 사례가 있다. 그러나 올해는 지난해 물가가 큰폭으로 올라 8~10% 정도는 올려야 되지 않겠느냐고 판단하면서 시에 빠른 조치를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가 새로운 업체 선정시 고용 승계를 유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실현여부는 두고 봐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에 시 관계자는 “임금 인상 등 복지 차원에서 기존 운영 업체와 실무적으로 검토 중에 있고 고용 승계는 새롭게 위탁 업체가 선정되면 강제 사항이 아니지만 협의를 해야 하지 않나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구리시의회는 구리 소각장 운영 관리 정상화를 위해 일련의 위탁업체 선정 등 상황을 보고 받고 시의 업무 처리에 우려를 표명하면서 빠른 대책을 주문하고 나섰다.  

 

권봉수 시의장은 “시가 위탁 업무를 추진하면서 입찰 참가 업체의 자격 여부를 제대로 확인한 후 적절한 대응을 해야 했음에도 결국 문제가 유발돼 수사 의뢰까지 하고 그 결과를 기다리는 것이 제대로 된 행정이 맞는가”고 질타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