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과학원, 지난 50년 시행 국토녹화 사업 공익기능 가치 평가 기능별 숲가꾸기·산불 예방 등으로 ‘나무 부피’ 유지 노력 필요
지난 50년동안 시행한 국토녹화 사업의 공익기능 가치가 2020년 기준으로 259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평가됐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29일 1960년 이후 약 120억 그루의 나무를 심어 산림 전체의 나무 부피(임목 축적)는 14배 증가했고, 국민 1인당 연간 499만원의 혜택을 받고 있다며 이같이 발표했다.
이같은 결과는 2018년 기준 평가액 221조 원에서 38조 원(16.9%)이 증가한 것으로, 2020년 국내총생산(GDP) 1천941조 원의 13.3%, 농림어업 총생산(34.3조 원)의 8.1배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세부적으로는 온실가스흡수·저장기능이 97.6조 원으로, 총평가액 중 가장 높은 37.8%를 차지했다. 이어 산림경관제공기능 31.8조 원(12.3%), 산림휴양기능 28.4조 원(11.0%), 토사유출방지기능 26.1조 원(10.1%), 산림정수기능 15.2조 원(5.9%) 순으로 평가됐다.
이밖에도 수원함양기능 12.1조 원(4.7%), 산소생산기능 11.6조 원(4.5%), 생물다양성 보전기능 11.6조 원(4.5%), 토사붕괴 방지기능 11.5조 원(4.4%), 산림치유기능 6.7조 원(2.6%), 대기질개선기능 5.3조 원(2.0%), 열섬완화기능 0.6조 원(0.3%)으로 뒤를 이었다.
산림의 공익기능을 증진하려면 공익기능의 원천인 산림면적의 감소 추세를 완화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림의 다양한 공익기능이 적절하게 발휘될 수 있도록 기능별 숲가꾸기를 적기에 추진하고, 최근 국민적 관심사인 산불로 인한 산림자원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으로 지적됐다.
배재수 국립산림과학원장은 “지난 50년간 국토녹화의 성공으로 만들어진 울창한 산림은 우리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하는 다양한 공익기능을 선물로 주고 있다”며 “산림기본통계가 갱신되는 5년 주기로 산림의 공익기능 가치를 평가할 계획이며 앞으로 산림의 공익기능을 더욱 과학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연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