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장관은 정치권에서 가장 뜨거운 주목을 받는 인물이다. 그의 패션부터 언행 하나하나가 여론의 주목을 받는다. 한 장관의 총선 출마 가능성도 주목의 대상이다. 그의 정치계 입문을 예상하는 측은 “맞으면 맞을수록 성장했던” 윤석열 대통령과 비교하며 한 장관 역시 민주당으로부터 “맞을수록” 정치적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주장을 편다.
그런데 이런 주장은 윤 대통령이 검찰총장 시절 민주당으로부터 “맞았을” 당시 상황과 지금은 다르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은 유독 피해자 이미지를 갖는 이들에게 동정적이다. 정치권도 예외는 아니다. 윤 대통령은 검찰총장 재직 당시 권력에 맞서며 권력으로부터 핍박받는다는 “피해자 이미지”를 가졌다.
그런데 한 장관은 다르다. 한 장관이 야당인 민주당으로부터 집중적인 공격을 받는 것은 맞지만 한 장관은 정부의 일원이다. 즉, 권력을 가진 측의 일원이라는 것이다. 집권한 측의 구성원이 야당으로부터 공격받는다고 이를 권력으로부터 핍박받는다고 생각하는 국민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비록 민주당이 압도적인 입법 권력을 가지고 있어도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민주당으로부터 집중적인 공격을 받아도 한 장관이 피해자 이미지를 갖기란 쉽지 않은 것이다. 피해자 이미지를 가지지 못하면 두들겨 맞아도 정치적으로 성장하기는 어렵다. 주목은 받겠지만 이런 주목이 피해자에 대한 동정과 거기서 파생된 지지로 이어지기 힘들기 때문이다.
또 윤 대통령은 피해자 이미지뿐만 아니라 정치력도 보여줬다. 하지만 한 장관은 아직까지는 이런 정치력을 보여주지 않았다. 물론 한 장관의 정치적 감각은 무척 뛰어나다. 하지만 정치는 정치적 감각으로만 할 수는 없다. 정치력이 겸비돼야 한다는 것이다. 정치감각도 어느 정도 타고난 능력이지만 정치력 역시 인위적으로 단시간 내에 확보할 수 있는 능력이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치에 뛰어들지 말지는 한 장관 본인의 선택이지만 여론의 주목을 받는다고 정치인으로서 성공할 것이라고 아무도 장담할 수 없는 것이다. 뛰어난 행정가가 훌륭한 정치인이 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말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