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를 버텨낸 사업이 얼마나 될까. 택배 등 일부 업종에 불과할 것이다. 산업 전반이 코로나 충격 앞에 무너졌다. 이런 상황에서 특별해 보이는 통계가 있다. 2021년 전국 화훼산업 판매액이다. 5천382억원어치를 팔았다. 전년도보다 113억원 늘었다. 최근 추세를 보면 이 수치의 의미가 보인다. 2005년 이후 꾸준히 감소세였다. 그러다가 모처럼 반등세로 접어들었다. 바로 그 변곡점이 코로나 팬데믹 중인 2021년인 것이다.
시사하는 바가 크다. 박신애 교수(건국대 일반대학원 바이오힐링융합과)가 관련 설명을 했다. 시민들이 코로나19로 외부 활동을 줄였다. 그러면서 반려식물과 꽃에 관심을 갖게 됐다. 포털 사이트 검색어에서도 ‘식물’ ‘식테크’가 급증했다. 또 하나 요인은 시민 의식 속의 개념 변화다. 관상용에서 치유용으로 넓어져 가고 있다. 정신건강치료서비스 개념으로 반려식물을 접하기 시작한 것이다. ‘초록의 힘’이라고 일컬어지는 건강 역할이다.
박 교수는 “(입증된) 치유 효과를 (실생활 속)문화로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주장이 제기된 것은 토론회다. ‘반려식물과 화훼산업 활성화 방안 모색’이 주제였다. 경기도의회와 경기도가 주최했다. 지난 3월 경기도의회는 의미있는 조례를 통과시켰다. ‘경기도 반려식물 활성화 및 산업 지원 조례’다. 반려식물의 개념과 정책적 지원을 위해 제정된 전국 최초 조례다. 이때 대표발의했던 방성환 도의원(성남5)도 토론에 함께 했다.
물론 전통 화훼농가의 어려움이 여전함은 알고 가야 한다. 토론회에서도 이를 위한 아이디어가 많이 나왔다. 온라인 구매처 활성화, 화훼 농가 시설재배시설 최신화, 지속적인 국산품종 개발과 수입품종 의존도 축소 등이다. 황병국 성남시 화훼총연합회 회장은 “꽃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홍보를 통해 예산 확대가 필요하다”며 화훼산업진흥법 보완과 수입 꽃 원산지 표기 의무화에 대해 제안했다. 어느 것 하나 중요하지 않은 목소리가 없다.
염종현 경기도의회 의장이 참석했다. 안철수 국회의원도 축하 인사를 했다. 방 의원이 토론회 의미를 설명했다. “조례 제정에 이어 정책 활성화를 위해 각 분야 전문가와 토론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으며, 예상대로 뜻깊은 시간이었다.” 논의한 내용을 토대로 반려식물 및 화훼산업 활성화를 위해 집행부와 함께 지속적인 노력을 펼치겠다고도 했다. 좋은 자리였다. 이날 뜻이 조속히 행정에 접목되길 바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