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가 향후 20여년 이상 매년 떠 안아야 할 고정 지출예산이 많게는 500억원대까지 이를 것으로 추산돼 시 재정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이런데는 별내선 개통이 내년으로 임박해 오면서 매년 운영비로 부담해야 할 고정비용이 많게는 400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파악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위탁개발사업에 따른 연간 상환금 부담도 만만치 않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7일 구리시와 시의회에 따르면 시는 별내선 구리구간 개통이 내년으로 임박해 오면서 남아있는 사업분담금 수백억원과 개통이후 운행에 따른 운영비를 자체 부담해야할 형편이다.
총 사업분담금(1천여억원) 가운데 현재까지 남아있는 분담금에 대해서는 올해(120여억원)와 내년 중(250여억원) 관련 예산을 편성, 모두 상환 완료한 후 별내선 개통에 따라 25년부터 운영비 명목으로 200억원에서 많게는 400억원대까지 별도의 예산을 매년 확보, 대응해야할 형편이다.
이뿐 아니다. 캠코 위탁사업으로 준공된 여성행복센터 고정상환금 22억원과 올해 준공돼 내년부터 상환 예정인 갈매동복합청사 21억원 등 20여년 동안 갚아야할 고정상환금 43여억원도 부담이다.
여기에다 현재 시가 추진 중인 갈매동 복합커뮤니티센터과 인창동 복합커뮤니티센터까지 위탁개발방식으로 추진될 경우 이 또한 각각 20여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파악돼 위탁개발에 따른 고정상환금만도 연간 90억에서 100억원대로 집계되고 있다.
이처럼 향후 예상되는 시 재정지출 추계상황은 이날 시작된 구리시의회 행정사무감사 첫날부터 여야 의원들간 대립각 속에 현안으로 부각됐다.
양경애 시의원은 “별내선이 개통되면 연간 400억 정도 예산이 투입돼야 하는 등 향후 매년 500억원 가까운 예산이 들어가게 된다”면서 “미래세대에 부담이 될수 있다”고 말했다.
정은철 시의원은 “사업자체를 발목 잡고자 하는 것으로 비춰지고 있어 아쉽다. 기존 재정에서 위탁으로 변경된데 대해 검증해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별내선이 개통되면 운영비를 시가 매년 수백억원 이상을 부담해야 하는 상황은 맞다. 위탁개발방식의 경우 구리시의 재정여건으로 보아 주민편익 사업을 서둘러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으로 고민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