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지물' 남양주 전동킥보드 거치구역…인식 개선 시급

image
남양주시가 설치한 공유형 전동킥보드 전용 거치구역이 무용지물이 되면서 시민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사진은 진접역 인근에 설치된 공유형 전동킥보드 전용 거치구역. 독자 제공

 

남양주시가 설치한 공유형 전동킥보드 전용 거치구역이 무용지물이 되면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12일 남양주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12월 예산 1천여만원을 들여 진접역과 오남역, 진접오남행정복지센터 등 6곳에 공유형 전동킥보드 거치대 9개를 시범 설치했다.

 

공유형 전동킥보드 이용 인구가 늘어나는 추세에 이용자들의 사용 후 무질서한 보도 주차로 통행 불편 민원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주차공간 확대의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마련됐다.

 

그러나 일부 이용자들은 여전히 보도와 차도 등에 무질서하게 주차하고 있어 전용거치구역이 무용지물되고 있다.

 

남양주시가 설치한 공유형 전동킥보드 전용 거치구역이 무용지물이 되면서 시민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사진은 인도 위에 무분별하게 주차된 개인형 이동장치. 독자 제공

실제 이날 진접역 인근에 설치된 거치대에는 킥보드 한 대만 주차돼 있었다. 주위로는 3대의 킥보드가 무분별하게 방치돼 있었다. 킥보드 1대는 쓰려져 있어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고 있었다.

 

앞서 이곳에서 시각장애인이 길을 걷다 바닥에 쓰러진 공유킥보드에 발이 걸려 넘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남양주에는 공유형 전동킥보드 업체 7곳에 킥보드 3천여대가 이용되고 있으며 유동인구가 많은 다산동, 호평동, 진접읍 등 일대에 분포돼 있는 상황이다.

 

이에 시는 개인형 이동장치(PM) 이용수칙 안내문을 자체 제작해 고교에 배부하고 이용자가 많은 전철역과 고교 주변에 현수막을 거는 등 홍보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나 공유형 전동킥보드 관련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골머리를 앓고 있다.

 

시는 지난달 현장을 점검하며 보행자 안전과 보도 폭을 고려해 전동킥보드 이용 빈도가 높은 지역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내년 거치구역을 확대 설치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전동킥보드 전용 거치구역을 확대해 이용자와 보행자 모두에게 안전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