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해 인양, 발사 15일 만 한미 공동 조사 예정
북한이 탄도미사일 기술을 이용해 발사했던 우주발사체 ‘천리마 1형’의 잔해가 인양됐다.
서해에 추락한 지 15일 만의 일인데, 우리 군은 전반적인 성능과 기술 수준 등을 확인하기 위해 이 잔해를 평택 2함대 사령부로 이송한 상태다.
1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합동참모본부는 지난 15일 오후 8시50분께 ‘북 주장 우주발사체’ 일부를 인양했다고 밝혔다.
인양한 잔해는 3단 로켓인 천리마 1형의 2단부로 추정되며, 직경 2.5m 길이 15m에 달한다. 원통형 잔해 표면에는 ‘천마’라는 글자와 함께 하늘을 나는 말의 모습을 형상화한 마크가 확인됐다. 북한이 천리마 1형에 탑재했다고 주장한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와 1·3단부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
한미는 잔해를 평택 2함대 사령부로 이송했다. 추후 천리마 1형의 기술 수준과 외국 부품 사용 여부 등을 확인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지난 2~4일 한미는 싱가포르에서 열린 제 20차 아시아안보회의에서 천리마 1형의 잔해를 공동 조사하기로 했다.
당시 합동참모본부는 “인양된 물체는 추후 국방과학연구소 등 전문기관에서 정밀 분석할 예정”이라며 “우리 군은 추가 잔해물 탐색을 위한 작전을 지속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북한은 지난달 31일 평안북도 동창리에서 군사정찰위성을 탑재한 발사체 천리마 1형을 쏘아 올렸지만, 이 발사체는 1단 분리 후 2단 점화에 실패해 전북 군산 어청도 서방 200여㎞ 해상에 추락한 바 있다.
군은 북한이 발사체를 쏜 지 약 1시간30분 만에 낙하 해상에서 천리마 1형의 잔해로 추정되는 부유물을 발견해 인양을 시도했지만, 무거운 중량으로 인양 시도 과정 중 발사체의 잔해가 인양 장구에서 이탈, 수심 75m 해저에 완전히 가라앉았다.
군은 3천500t급 수상함구조함 통영함(ATS-Ⅱ)과 광양함(ATS-Ⅱ), 3천200t급 잠수함구조함(ASR) 청해진함을 포함해 항공기와 전투함, 해군 해난구조전대(SSU) 심해 잠수사를 투입해 인양 작전을 펼치는 등 고군분투한 끝에 추락 15일 만에 인양에 성공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