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뷰티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수출과 해외시장 진출 확대 지원을 더 강화해야 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는 20일 도청에서 제2기 경기도 뷰티산업 진흥위원회 첫 회의를 열고 경기연구원이 조사한 이 같은 내용의 ‘코로나19에 따른 뷰티 트렌드 변화와 경기도 뷰티산업 대응 전략’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전국 화장품 제조업체 4천428개 중 37.3%인 1천651개가 도에 등록됐다. 화장품제조업 등록 공장 1천302개소 중 41%에 달하는 933개소가 도에 있으며, 2020년 기준 도 화장품제조업 매출액은 5조7천640억원(전국 비중 35.6%)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 도에는 전국 식약처 지정 화장품 시험·검사기관의 절반이 입지하고 있고, 기업부설 연구소 및 연구개발 전담 부서 3분의 1이 분포해 우수한 연구개발환경을 갖추고 있다. 아울러 뷰티산업 육성 조례를 2012년 전국 최초로 제정하고 전국 최대 규모의 뷰티박람회를 개최하는 등 산업 육성 의지와 역량 측면에서도 다른 시도에 비해 월등한 수준이라는 평가다.
도내 뷰티산업 기업체의 정책 수요를 분석한 결과, 국내·외 온오프라인 마케팅과 코로나19로 위축됐던 수출·해외시장 진출 확대와 관련된 정책지원 필요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에 도는 새로 구성된 제2기 경기도 뷰티산업 진흥위원회 위원들과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을 해나가며 올해 ‘경기도 뷰티산업 진흥 5개년 기본계획’을 수립하겠다는 계획이다. 위원회는 위원장인 염태영 도 경제부지사를 비롯해 관련 부서 국장 1명, 위촉직 위원 13명 등 총 15명으로 구성된다.
염태영 도 경제부지사는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경기도 뷰티산업이 더욱 발전하고 도약할 수 있도록 경기도가 할 수 있는 역할을 다할 것”이라며 “앞으로 수립될 기본계획에 꼭 필요한 정책이 담길 수 있도록 많은 조언과 자문을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