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폭염이 본격화되면서 경기도가 인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긴장태세를 유지하고 있다.
최근 2년간 온열피해자 발생 건수와 가축 폐사 사례가 폭증세를 띠고 올해도 한달새 30여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하자, 김동연 지사가 옥외작업 근로자·저소득층 등 취약 계층 적극 보호를 지시해서다.
23일 도에 따르면 올해 폭염집계가 시작된 지난달 20일 이후 약 한달만에 31명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했다. 이 가운데 80%(25명) 이상은 야외활동을 하다가 피해를 입은 것으로 확인됐다. 작업장 5명, 운동장 9명, 논밭 3명, 길가 5명, 주거지 주변 1명, 기타 2명 등이다.
특히 폭염으로 인한 도내 온열질환자 및 가축 피해 발생은 최근 3년간 매년 폭등세를 띠는 실정이다.
2020년 173명이었던 온열질환자는 2021년 271명(사망자 2명)으로 뛴 뒤, 지난해 353명(사망자 2명)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피해를 입은 가축도 1만8천751마리, 7만8천845마리, 10만3천56마리로 크게 늘었다.
이에 도는 올해 옥외작업 근로자, 저소득층 등 불볕더위에 취약한 계층을 중심으로 피해 예방에 집중할 방침이다. 앞서 김 지사가 “폭염으로 일사병과 같은 온열질환이 우려된다”며 “시·군별 비상 대응체계를 가동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기를 바란다”고 지시한 데 따른 후속조치다.
먼저 도는 건설공사장 안전관리 실무반을 편성, 오는 9월30일까지 시·군 재난안전대책본부 등과 함께 사전예찰, 휴게시설 설치 협력체계를 이어나간다.
착공에 들어간 건설공사장 1만6천989곳 가운데 중대재해처벌법을 적용받지 않아 상대적으로 안전 관리에 취약할 수 있는 50억원 미만의 소규모 건설공사장이 91%(1만5천484곳)에 달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취약계층의 전기요금 부담을 줄이기 위한 에너지복지 지원사업도 펼친다. 고양특례시 등 24개 시·군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독거노인 840가구에 냉방기기 설치를 지원한다. 취약계층에 지원하는 냉방기기의 경우, 기존 에너지효율 5등급에서 3등급 이상의 기기를 설치해 전기 요금 경감 효과를 줄 계획이다.
또 일선 시·군과는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해 합동전담팀을 운영, ▲지역 홀몸 어르신 및 중증 장애인 건강·안부 확인 ▲도로 구간 살수 ▲무더위쉼터 개방 등 활동을 지속 전개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온열질환자 대다수가 야외에서 발생하는 만큼 장시간의 실외 활동을 지양하도록 권고하고, 관련 행동요령을 안내하고 있다”며 “도민 폭염 피해 최소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