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평택시청을 압수수색했다. 정장선 시장이 수사 대상이다. 평택에코센터 부당 용역 계약 관련이다. 평택 폐기물 복합 처리 시설이다. 정 시장이 평택에코센터 사업을 맡았던 업체에 후보 시절 자신의 선거 캠프에서 활동한 측근과 용역 계약을 맺으라고 청탁한 것으로 경찰은 보고 있다. 정 시장의 측근은 용역 계약을 통해 해당 업체로부터 2억여원의 용역비를 받았다고 한다. 수사는 서울경찰청 반부패·공공범죄수사대가 하고 있다.
적용 혐의는 제3자 뇌물수수다. 정 시장이 지인에게 이득이 가도록 했다는 것이다. 귀에 많이 익숙하다. 이재명 대표의 성남FC 사건 때도 적용된 혐의다. 두산 네이버 등 관내 업체들에 성남FC 광고비 후원금을 내게 한 혐의다. 전 용인시장인 정찬민 의원에게 적용된 혐의도 제3자 뇌물수수다. 정 의원은 1심에서 징역 7년이 선고됐고 항소심 중이다. 일선 지자체 행정에서 자주 등장하는 범죄다. 범죄 증명도, 무죄 증명이 어려운 특징이 있다.
정 시장은 평택 정치의 상징이다. 1995년 경기도의원으로 정치를 시작했다. 16, 17, 18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당 사무총장 등 요직도 맡았다. 이후 2018년에는 시장이 됐고, 지금이 두 번째 시장 임기다. 늘 합리적이고 균형감 있는 모습을 보여 왔다. 당내 개혁을 요구하며 불출마해 야인의 길을 스스로 택하기도 했다. 지역에서도 이런 진심을 인정받아 거의 모든 선거에서 선택 받았다. 이번의 강제수사 의미가 결코 가볍지 않은 이유다.
정 시장은 강력히 부인한다. 압수수색 직후 SNS에 심경을 밝혔다. ‘이런 일을 결코 한 적이 없다. 할 수도 없다.’ 그러면서 붙인 말에 눈길이 간다. “최근 1년 동안 엄청 많은 고발이 있었다. 이 중 상당 부분은 ‘어떤 의도를 갖고 괴롭히기 위해 이뤄진 것’으로 알고 있다.” 의혹 제기 주체에 대한 역의혹 제기를 하고 있다. ‘의혹 제기’ 당사자 또는 집단이 있고, 거기에는 모종의 목적이 있다는 주장이다. 배경이 궁금하다.
실제로 정 시장에 대한 의혹이 많았다. 지난해 6월 지방선거를 전후로 고소·고발만 20건에 달한다. 대부분 무혐의로 끝났다.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도 1심 무죄다. 그래서 정 시장 주장이 더 궁금하다. 평소 틀에 박힌 정치 언어를 쓰지 않는 정 시장이다. 정치 목적의 선동 같은 것도 안 한다. 차제에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해 보인다. 물론 이보다 중한 것은 ‘제3자 뇌물 의혹’에 대한 해명이다. 이 실망스러운 의혹이 완전히 해소되는 게 무엇보다 우선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