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민이 경제특구 유치전에 뛰어든다. 평화경제특구 유치 시민추진단 출범이다. 시가 23일 관련된 계획을 발표했다. 부시장이 단장, 자치행정국장이 부단장을 맡는다. 여기에 각계각층 시민대표가 합류한다. 다음 달 정식 발대식을 갖는다고 한다. 다양한 홍보 매체를 활용하고 홍보관도 운영한다. 시민 공감대 형성을 위한 활동도 전개한다. 유치의 당위성 등을 알리는 교육 학술대회 등도 준비돼 있다. 시가 주도한 활동에 시민 힘이 보태지는 것이다.
향후 계획에 대한 시의 발표다. 이런 단순한 절차와 논의 자체도 유치전이다. 평화경제특구 유치전이 그만큼 팍팍하다. 또 다른 접경지 강원도가 강력한 경쟁지다. 철원군과 고성군은 용역을 마쳤다. 철원은 농·생명바이오, 첨단산업단지 밑그림을 그렸다. 북한의 풍부한 광물 등을 활용할 수 있는 특성을 내세운다. 고성지역은 거진과 화진포 일원을 연계한 세계평화공원을 내놓고 있다.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도 뛰어들었다. 강원도가 힘을 보태고 있다.
파주시가 내놓는 청사진도 충실하다. 첨단산업클러스터, 국제평화클러스터, 친환경생태클러스터를 구상하고 있다. 북한과 인접한 지역에 산업단지, 연구개발단지, 관광단지, 의료단지를 배치시킨다는 계획이다. 330만㎡의 특구에서 9조원의 생산유발효과, 7만명의 고용유발효과도 계산하고 있다. 그럼에도 여유롭지는 않다. 앞서 우리가 밝힌 바 있듯이 국가균형발전론이 걱정이다. 경기도 등 수도권에 무조건 불리한 조건이다. 같은 점수면 떨어진다.
결국 이런 상황을 감안한 맞춤형 전략을 펴야 한다. ‘뭘 하겠다’는 내용도 물론 중요하다. 하지만 더 효과적인 것은 ‘왜 파주인가’다. 철원·고성 등 경쟁지들이 흉내낼 수 없는 카드가 필요하다. 파주에서만 가능한 구상을 적어 내야 한다. 무엇이 있겠나. 서울과 인접한 지리적 장점도 선택될 수 있다. 기존의 대북 관문이 살려질 수 있다. 세계적으로 지명도 높은 판문점 등 분단 문화도 이용될 수 있다. 이런 고유 자산과 경제특구를 연결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시민 참여는 열정의 표현이다. 결정권자에게 하나됨을 보여주는 것이다. 여기에 반드시 필요한 것이 리더십이다. 전문가와 함께 끌고 가야 한다. 아낌 없는 행정적 지원이 따라야 한다. 철원군민도, 고성군민도 목소리를 내지 않겠나. 파주시민 목소리와 파주시 행정의 하나 된 목소리가 필요하고, 경쟁지가 흉내 못 낼 유치 이유가 필요하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