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천 교육공무직 "악성민원 욕받이 전락 결사반대"

경기·인천지부 ‘철회 촉구’ 기자회견
“공무직에 떠넘기기는 심각한 차별”

image
28일 오전 9시 인천시교육청 앞에서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인천본부가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부의 민원대응 대책에 대해 규탄하고 있다. 홍승주기자

 

교육부가 교권 회복 대책으로 각 학교에 교육공무직이 참여하는 민원 대응팀을 구성하기로 하면서 경인지역 교육공무직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지금도 업무가 과중해 민원 대응 업무까지 맡을 수 없다는 이유다.

 

전국교육공무직본부 경기지부와 인천지부는 28일 각 시·도교육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부의 대책처럼 교육공무직이 1차 민원 접수부터 분류·처리까지 떠맡는다면, 민원업무 폭탄을 초래할뿐만 아니라 교육공무직이 악성민원 욕받이로 전락한다”며 “교육부가 대책을 밀어붙이면 반대 행동에 나서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면서 “민원 대응팀을 꾸린다는 것은 종전 학교에 없던 새로운 업무 영역과 체계를 만드는 일”이라며 “새로운 인력운영 방안을 구상하지 않고 말단 교육공무직에게 떠넘기는 것은 심각한 차별”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교육부가 교권 회복 대책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교육공무직과 제대로 협의를 하지 않은 점도 꼬집었다. 전국교육공무직본부 경기지부 관계자는 “교육부는 교원단체와 수십차례 협의를 거치고 토론회도 개최했지만, 교육공무직들과는 단 한 차례의 소통도 하지 않았다”며 “교육부의 발표 과정은 매우 기만적이었다. 전체 교육공무직을 우롱한 것”이라고 항의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정부서울청사와 전국 시·도 교육청 앞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열렸다. 교육공무직들은 규탄행동을 시작으로 각 시·도교육청을 방문해 대책 요구에 나서는 한편 피해 직종 현장 노동자들과 지속적인 대응 행동을 준비할 계획이다.

 

한편 교육부는 앞서 지난 23일 악성 민원을 교사가 필터링 없이 담당하고 있다는 비판에 학교장 책임하에 교감, 행정실장, 교육공무직 등 5명 내외의 민원 대응팀을 구성·처리하는 ‘교권 회복 및 보호 강화 종합방안’을 발표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