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을 파악하는 ‘202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가 이달 실시된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이달 14일과 21일 이틀간 표집 방식으로 202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시행한다고 12일 밝혔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정부가 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과 추이를 분석해 교육정책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매년 시행하는 평가다.
한때 전수평가로 실시돼 ‘일제고사’로 불렸지만, 2017년부터 중3·고2 학생의 3%만 표본으로 추출해 치른다. 올해는 예년과 마찬가지로 중3·고2 전체 학생의 3%를 표집(476개교, 2만4천835명)해 실시한다.
중학교 3학년의 국어·수학·영어·사회·과학, 고등학교 2학년의 국어·수학·영어 교과 성취 수준과 학생들의 학교생활 만족도, 사회·정서적 역량 등 비인지적 특성을 진단한다.
평가 결과는 교육과정 개선과 교육정책 수립 등에 활용된다. 학생 개인에게는 교과별 성취수준이 가장 높은 4수준부터 가장 낮은 1수준까지 4개 단계로 제공된다. 교과 세부 영역별 성취율도 제공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