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국가권력 질서는 명쾌하다. 최고 권력자에 의해 힘의 논리로 이뤄진다. 객관성 등은 개입할 여지가 없다.
사회주의 국가들은 매년 정기적으로 권력 구조를 개편한다. 이 나라에선 당 서열이 곧 권력 순위 매김의 바로미터다. 자본주의 국가에선 권력서열이란 콘셉트 대신 의전서열로 통칭된다.
최근 이 나라에서 우리의 국방부 장관에 해당하는 국방부장 실각 문제를 놓고 어수선하다. 권력서열 순위가 바뀌고 있어서다. 국방부의 수장은 관례상 권력서열 10위권 내에 포진한다.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인물은 리상푸(李尙福) 부장이다.
이런 가운데 그의 실각을 암시하는 조짐들이 곳곳에서 나타난다. 중국군 기관지인 해방군보가 “군 간부가 이익에 급급해하고 있다”며 먼저 포문을 열었다. 기강 잡기가 시급하다고도 날을 세웠다. 간부 승진·강등도 가능해야 한다는 논리도 잊지 않았다. 이 매체는 간부의 분발과 책임 등도 독려하고 정확한 성과관(觀)을 수립·실행하려면 ‘어지러운 행위(亂作爲)’를 잘 풀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외신은 그가 지난달 군장비 조달 관련 부패 혐의로 조사를 받았다고 보도했다. 공산당 최고 의결기구인 중앙군사위원회 회의에도 불참했다. 올해 3월 국방부장에 임명된 그는 직전까지 중앙군사위원회 장비발전부장을 맡아 군장비 조달을 책임졌다. 당시 러시아로부터 Su-35 전투기 10대와 S-400 방공미사일 시스템을 불법 구매했다는 이유로 미국의 제재 대상에도 올랐다.
미국과 중국은 외교와 경제, 글로벌 이슈 등의 채널을 되살리고 있다. 하지만 군사 채널 복원은 늦어지고 있다. 중국 소식통들은 리 부장이 걸림돌이라고 분석한다. 미국이 그에 대한 제재를 고수하고 있다는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중국은 권력구조 개편 전에 먼저 각종 매체 등을 이용해 여론전을 펼친다. 이른바 인민재판의 21세기 버전이다. 중국 당국의 다음 행보가 주목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