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교체 안돼… 통합 필요 市 “기후에너지과 전담 고려”
부천시의 전기차 충전시설 관련 설치·관리 담당 부서가 나뉘어 있어 통합 관리해야 한다는 여론이 비등하고 있다.
1일 부천시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친환경자동차법) 시행으로 지난해 1월 이후 신축된 공공시설 내 총 주차면 50면 이상 주차시설은 총 주차대수의 5% 이상을 전용주차구역과 충전시설 등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 또 지난해 1월 이전 주차시설은 총 주차대수의 2% 이상 충전시설을 설치하고 5% 이상 전용주차구역을 의무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이에 따라 부천지역 전기차 충전시설 설치 대상은 공공시설 25곳 69기(지난 7월 기준)로 부서별로는 문화예술과 3대를 비롯해 공원관리과 7대, 공원조성과 1대, 관광진흥과 1대, 기업지원과 1대, 체육진흥과 31대, 여성정책과 2대, 장애인복지과 1대, 부천동 2대, 소사본동 3대, 한국만화영상진흥원 4대, 부천도시공사 4대, 수주도서관 2대, 부천문화재단 1대 등이다.
그러나 시는 전기차 충전시설을 부서별로 중구난방으로 설치하다 보니 업체 선정과 설치비 예산 확보 등이 제각각인 데다 부서는 설치하고 사후 관리 서비스가 이뤄지지 않아 고장 난 상태로 방치되는 충전시설도 늘고 있어 설치와 관리 부서가 통합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전기차 충전시설 설치는 재정사업과 공모사업 등으로 나뉘며 공모사업도 환경부 주관 공모사업과 민간공모 또는 수의계약 등 다양하다.
설치방안별로 추진 방법과 장단점이 있어 통합관리를 통해 재정 여건과 사업성 등을 고려해 장소별로 맞춤형 설치도 필요하다.
이와 함께 앞으로 전기차 충전시설은 꾸준히 늘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시 차원의 통합관리 전담팀 지정 내지는 신설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시민 A씨(53)는 “동주민센터에는 전기차 충전시설이 설치됐지만 작동되지 않은 지가 수개월이 지났는데도 수리나 교체가 이뤄지지 않아 불편을 겪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시 관계자는 “내년 조직개편을 통해 기후에너지과가 신설되는 만큼 해당 부서가 담당할 수 있는지 고려해 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