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화성·안산·양주·파주에 수소경제 클러스터 조성 필요”

평택·화성·안산 수소경제 클러스터 조성 구상도. 경기도 제공

 

2천759조원으로 성장할 세계 수소경제를 선점하기 위해 경기도가 경기 남·북부에 수소경제 클러스터를 조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26일 ‘경기도 수소경제 클러스터 조성 방안 연구’를 통해 경기도가 다른 지역보다 수소경제 추진과 클러스터 정책에 큰 잠재력을 지녔다고 진단했다.

 

현재 산업통상자원부는 수소집적단지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데, 연구원은 관련 기업들이 집적 이익을 위해 상호 연결된 수소경제 클러스터를 경기 남·북부에 조성하자고 제안했다.

 

남부에는 평택 수소 특화단지, 평택포승지구, 자동차클러스터, 화성 화성호 간척지대 부지, 양감면 H-테크노밸리, 안산 신길일반산업단지까지 이어지는 평택·화성·안산 벨트를 지목했다. 3개 시에 연료전지발전소, 생산허브, 자동차클러스터 등을 연계해 대규모 전초기지로 활용하자는 계획이다.

 

북부에서는 양주 은남일반산업단지, 파주 파평일반산업단지, 미활용군용지 중 한 지역에 각각 수소경제 클러스터를 추진해 친환경에너지 협력 기반을 마련하자고 강조했다.

 

이런 전략을 통해 2030년까지 수소생산허브 10개소, 수소 생산량 1천300t, 수소 배관망 300㎞, 수소충전소 200개소, 수소연료전지발전량 1.5GW, 수소 기업 1천500개 사 등을 달성할 수 있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강철구 선임연구위원은 “도가 민간사업자들과 파트너십을 이뤄 수소경제 클러스터 조성에 더욱 힘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