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사는 ‘착한 중독’입니다. 자꾸 하다 보면 중독되거든요. 봉사로 ‘행복이 전염되는 세상을 만들자’고 주변 분들에게 항상 얘기합니다.”
‘1만시간 봉사’의 주인공, 인천 계양구에 사는 오헌주씨(61)는 2000년 초반부터 자원봉사를 시작해 지난 10월까지 총 1만499시간의 자원봉사 누적 시간을 기록했다.
오씨는 20년이 넘는 기간 다양한 자원봉사를 했다. 요양원에서 가수로 위안공연도 하고 중증장애인시설에서 도시락 제작·전달과 돌봄 활동도 했다. 집수리, 환경정화는 기본이고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에서 출소예정자 상담도 한다. 몇 년 전에는 4주간 배운 기술로 인천 계양구 계양복지관 아이들에게 풍선아트도 선보였다. 또 참가자 중 유일한 남성으로서 네일아트 교육을 마치고 경로당에 가서 할머니들에게 솜씨를 발휘하기도 했다. 할머니들은 여성 자원봉사자 대신 오씨에게 네일아트를 부탁한다.
“한번은 계양구의 한 빌라에 변기와 세면대를 교체하는 봉사를 했어요. 엘리베이터도 없는 6층 짜리 건물이더라고요. 변기 하부를 비롯해 물통, 세면대 , 공구 등을 들고 6층을 네 번 오르락내리락 하니 정말 힘들어 포기하고 싶더라고요. 옆에서는 할머니, 할아버지가 ‘미안하다, 미안하다’ 하시니 어쩔 수 있나요. 가장 기억에 남는 수리공 봉사입니다.”
오씨는 지난 2006년부터 전남 고흥군에 위치한 소록도를 찾아 한센병력자들을 위한 자원봉사를 하고 있다. 주민들이 먹을 음식도 만들고 관리가 안 된 농지에서 잡초도 뽑는다. 값진 자원봉사 활동 중 하나다.
“장애는 세상을 살아가면서 조금 불편한 부분일 뿐 우리가 동정심을 가져야 할 점이 아닙니다. 자신이 충분히 혼자 휠체어를 타고 다닐 수 있기에 다니는 겁니다. 다만 가다가 턱을 만난다든지 조금 불편해 보일 때 먼저 도와줘도 될지 물어본 뒤에 행동하면 됩니다.”
자원봉사는 이 사례의 연장선에서 설명할 수 있다. 장애는 삶을 살아가며 조금 불편한 부분이고 이 ‘조금’을 해소 시켜 주는 것이 자원봉사라는 얘기다. 가족이 모든 불편을 해소하기는 한계가 있기에 누군가는 도움을 줘야 한다는 것. 그래서 자원봉사자들이 없다면 우리 사회가 제대로 굴러가지 않을 것이라는 게 오씨의 생각이다.
오씨는 “나의 시간과 노력이 다른 이들에게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느끼면 자원봉사를 하지 않았다”며 “봉사는 세상의 톱니바퀴 같은 역할이고 이를 통해 세상이 더 행복해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