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월세지원 ‘높은 문턱’… 청년들, 인천 떠나 서울로

인천, 1인가구 기준중위소득 60% 이하
서울은 150%면 수혜… 상대적 박탈감
드림 For 청년통장 예산도 턱없이 부족
82만9천7명 중 834명만 혜택 ‘좁은 문’

인천시 청년정책의 진입장벽이 타 지역에 비해 높아 인천 청년들이 활용할 수 있는 청년정책이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계없음) 이미지투데이
인천시 청년정책의 진입장벽이 타 지역에 비해 높아 인천 청년들이 활용할 수 있는 청년정책이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계없음. 이미지투데이

 

“인천에선 청년 월세나 통장 등 지원 받는게 쉽지가 않네요. 서울로 이사가려구요.”

 

인천 미추홀구에 사는 한유진씨(29)는 아예 직장이 있는 서울로 이사 가기로 했다. 인천보다 서울 월세가 비싸지만, 서울에선 청년이란 이유로 월세를 지원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 사는 집은 매월 36만원이고 서울에 알아본 집은 50만원이지만, 한씨의 월급 수준에서는 2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직장과도 가까워지고 월세도 싸지는 셈이다. 한씨는 “인천에선 월세지원 받는 기준이 서울보다 높아 대상자에 들지도 못했다”며 “고향인 인천을 떠나는 게 아쉽지만 어쩔 수 없는 현실”이라고 말했다.

 

남동구에 거주하는 카페 직원 변상구씨(26)는 타 지역에 사는 친구들처럼 청년 통장을 만들지 못해 답답하다. 청년 통장은 3년간 매월 10만원씩 저축하면 시가 640만원을 지원해줘 총 1천만원까지 목돈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인천의 ‘드림For 청년통장’은 제조업 및 지식서비스산업에 재직 중인 19~39세 청년 근로자만을 지원하는 탓에 지원 대상에 아닌 그는 신청조차 하지 못한다. 변씨는 “인천만 혜택이 부족한 것 같아 답답하다”고 했다.

 

인천시 청년정책의 진입장벽이 타 지역에 비해 높아 실제 인천 청년들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이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5일 인천시에 따르면 올해 60억2천만원을 들여 인천에 살고 있는 19~39세 청년들 월세를 최대 20만원까지 지원해 주는 사업을 하고 있다. 지원 대상은 1인가구의 경우 기준중위소득 60% 이하에 대해 월세를 20만원 지원해준다. 반면 서울은 기준중위소득이 150%면 월세지원사업 대상자다.

 

시는 또 드림 For 청년통장 예산으로 올해 35억4천만원을 들이지만 대상자가 고작 834명 뿐이다. 현재 인천 청년 82만9천7명 중 불과 0.1%에만 지원하는 셈이다. 반면 경기도에는 청년이면 일자리에 상관없이 2년 만기를 채우면 580만원을 지원하는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이 있다.

 

이 때문에 지역 안팎에서는 청년 유출 및 상대적 박탈감을 줄이기 위해 청년정책의 대상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김대영 인천시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은 “청년 정책으로 더 많은 청년들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그래야 인천 청년들의 타 지역 유출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민아 청년공간 유유기지 부평센터장은 “뿌리산업 위주 청년 지원 정책이 많아 상대적으로 다른 직종에서 일하는 청년들이 소외받는다”며 “좀더 보편적인 지원의 청년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예산이 한정적이다 보니 정책 범위를 확대하기가 쉽지 않다”며 “대신 청년들이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지원사업을 계속 보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