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마사토 운동장 비산먼지가 건강에 안 좋다는데

운동장에 깔린 마사토는 유해한가. 학생들의 건강을 해치고 있는가. 이근원 아주대 환경안전공학과 교수가 조언한다. “작은 입자의 마사토를 흡입하게 되면 30~50년 후 진폐증 등 각종 폐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어린아이들이 이 먼지를 흡입하지 않도록 관리가 필요하다.” 이외에도 마사토 미산먼지의 폐해를 지적하는 전문가는 많다. 대책을 내야 한다는 공감대도 오래전에 형성됐다. 학교 현장의 실태는 어떨까. 대책은 이뤄지고 있을까.

 

마사토 운동장에는 장점이 있다. 물이 잘 빠지고, 관리 비용이 적게 든다. 도내에서만 2천500여개 학교가 마사토 운동장을 쓴다. 농구장, 족구장, 트랙 등 용도도 다양하다. 마사토 미세먼지에 노출된 학생이 그만큼 많다. 아이들은 성인의 호흡률보다 2~3배 많다. 흡입되는 미세먼지가 그만큼 많아진다. 그런데 도 교육청 차원의 건강 대책이 없다. 업무를 담당할 부서도 명확하지 않다. 문제를 지적하자 그제야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한다.

 

이렇게까지 관심 밖에 있을지는 몰랐다. 이미 해수 살포 등이 대책이 이뤄지는 학교가 많다. 2017~2019년 남양주지역 5개 초등학교의 개선 사업이 그런 경우다. 친환경 먼지 억제제를 살포했다. 당시 사업을 주도했던 것은 경기도다. 어찌된 일인지 2020년부터는 그나마 사라졌다. 시·군이 직접 대책에 나서는 곳도 있다. 구리시가 그런 예의 하나다. 관내 8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예방 사업을 벌였다. 그 결과치가 있다.

 

사업 대상이었던 한 학교에서 분석된 개선 효과 수치다. PM10(미세먼지) 농도(g/㎥)가 70.1에서 15.1로 줄었다. PM2.5(초미세먼지) 농도는 43.1에서 9.9까지 감소했다. 아이들의 건강 개선 수치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작업이 어렵거나 천문학적 예산이 투입되는 것도 아니다. 해수를 살포하거나 소금을 섞어 깔아주는 정도의 작업이다. 아이들과 학부모가 학교 생활에 걱정을 덜 수 있게 하는 사업이다. 해야 하고, 할 수 있는 일이다.

 

과거 인조잔디 운동장 유해성 논란 때를 보자. 발암물질이 나온다는 소리에 온 나라가 발칵했다. 천문학적인 예산을 쓰며 뜯어냈다. 그에 비해 결코 가볍지 않은 마사토 운동장 유해 논란이다. 미세먼지를 흡입하면 건강이 나빠진다는 당연한 걱정이다. 관심을 갖고 대책을 추진해야 하는 것 아닌가. 꼭 학부모들이 들고일어나야 들여다볼 것인가. 잠깐 하다가 손 뗀 경기도, 업무 관장조차 정하지 않는 경기도교육청, 모두 반성하고 사업에 나서라.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