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에서 경기도 소상공인 점포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주된 목적은 ‘음식’인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원장 조신)은 5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도 소상공인 경제 이슈 브리프 2023년 VOL.10 경기도 소비자 유입·유출 분석’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연구 분석에 따르면 경기도 소상공인 점포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대부분 경기도민으로 분석됐으며, 매출액으로는 93.4%, 매출 건수로는 98.2%를 차지했다.
이밖에 타 시·군 거주민들이 경기도에서 소비하는 비율은 매출액 기준 6.6%, 매출 건수로는 1.8%였다. 타 시·도 유입에 의해 발생하는 매출액을 100으로 할 때 서울은 60.1%, 인천 12.5%, 충남 5.5% 순이다.
이처럼 경기도를 제외한 도의 유입·유출 비율은 지리적, 기능적 밀접성으로 인해 서울과 인천시가 가장 높았다. 또한 경기도 지역별로 경기 남부는 충청도, 경기 동부는 강원도의 유입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때 지역적 접근성이 소비패턴에 있어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경기도와 서울시 사이에서는 음식이 상호 간 가장 많은 유입·유출 목적으로 분석됐다. 이외에 서울에서 경기도로 유입되는 목적으로는 레저스포츠, 문화관광, 쇼핑 순이었으며 경기도에서 서울로 유출되는 목적은 문화관광, 숙박, 쇼핑 순으로 나타났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