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서울 소상공인 점포 이용 최대 목적은 ‘음식’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 발간한 경기도 소상공인 경제 이슈 브리프 캡처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이 발간한 경기도 소상공인 경제 이슈 브리프 캡처

 

서울시에서 경기도 소상공인 점포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의 주된 목적은 ‘음식’인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원장 조신)은 5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도 소상공인 경제 이슈 브리프 2023년 VOL.10 경기도 소비자 유입·유출 분석’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연구 분석에 따르면 경기도 소상공인 점포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대부분 경기도민으로 분석됐으며, 매출액으로는 93.4%, 매출 건수로는 98.2%를 차지했다.

 

이밖에 타 시·군 거주민들이 경기도에서 소비하는 비율은 매출액 기준 6.6%, 매출 건수로는 1.8%였다. 타 시·도 유입에 의해 발생하는 매출액을 100으로 할 때 서울은 60.1%, 인천 12.5%, 충남 5.5% 순이다.

 

이처럼 경기도를 제외한 도의 유입·유출 비율은 지리적, 기능적 밀접성으로 인해 서울과 인천시가 가장 높았다. 또한 경기도 지역별로 경기 남부는 충청도, 경기 동부는 강원도의 유입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때 지역적 접근성이 소비패턴에 있어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경기도와 서울시 사이에서는 음식이 상호 간 가장 많은 유입·유출 목적으로 분석됐다. 이외에 서울에서 경기도로 유입되는 목적으로는 레저스포츠, 문화관광, 쇼핑 순이었으며 경기도에서 서울로 유출되는 목적은 문화관광, 숙박, 쇼핑 순으로 나타났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