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단 재생에너지 생산기반 확충 ‘박차’…기업 성과 도출 나선다 [시동 거는 경기RE100 中]

2050년 내 기업 사용전력 100% 대체
道, 26개 시·군 193개 입주 기업 지원
RE100 참여 기업에 각종 인센티브 추진
진흥원, 내년 2월까지 찾아가는 간담회

image
경기도와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관계자들이 '찾아가는 기업 RE100 현장설명회'를 진행하고 있다.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제공

 

경기도가 민선 8기 핵심 공약 ‘경기 RE100’의 주축인 ‘기업 RE100’ 성과 도출을 위해 산업단지 내 재생에너지 생산 기반 확충, 기업 에너지 공급을 본격화한다.

 

RE100이 2050년 내 기업 사용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대체하는 국제 캠페인인 만큼 경기지역 수출 기업의 생존전략과 직결된 문제이기 때문이다.

 

18일 경기도에 따르면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이하 진흥원)은 2026년까지 경기도내 26개 시·군, 193개 산업단지 입주 기업의 건축물, 유휴부지에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을 2.8GW(원전 2기) 규모로 확충할 계획이다.

 

산단에서 생산한 태양광 전력 등 재생에너지를 RE100 이행이 시급한 글로벌 기업에 공급한다는 구상으로 진흥원은 올해 8회에 걸쳐 찾아가는 기업 RE100 설명회를 개최, 산업단지 RE100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또 진흥원은 내년 2월까지 경기도 산단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기업RE100 간담회’를 개최해 재생에너지 사업 투자사-산단 입주 기업 간 매칭을 지원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경기도는 ‘RE100 참여 기업 인증서’를 발급해 경기도 기업 지원 사업 참여 시 기업 활동에 필요한 각종 인센티브를 부여해 동참을 적극 이끌어낼 계획이다.

 

또 경기도와 진흥원은 산단 RE100 이행으로 생산된 재생에너지를 대기업은 물론 RE100 이행이 필요한 중견·중소기업에 효율적으로 공급한다.

 

‘기업 RE100’ 달성을 위한 행보로 지난 11월 경기도는 삼성전자 컨소시엄과 ‘기업 RE100 달성을 위한 재생에너지 공급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서 삼성전자는 평택지역 산단에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를 20년간 구매하기로 했다.

 

심재성 진흥원 기후에너지본부장은 “경기도내 글로벌 수출 기업에 RE100 달성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기업 모두 재생에너지 공급이 절박한 상황”이라며 “기업 RE100 이행의 필수 요건이 RE100 산단 조성인 만큼 산단 설명회, 업체별 컨설팅을 지속하며 즉각 재생에너지 발전 시설 확충이 가능한 산단부터 성과를 낼 계획”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