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 '종합폐기물 처리시설 건립' 단계별 추진

구리시청 전경. 구리시 제공
구리시청 전경. 구리시 제공

 

구리시가 종합폐기물 처리시설 설치를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16일 구리시에 따르면 시는 당초 ‘구리·남양주 에코커뮤니티 민간투자사업’으로 구리자원회수시설에 하루 100t 처리 용량의 소각장을 증설하고 인접 부지인 남양주 수석동에 하루 100t 처리 용량의 음식물 처리시설과 주민편익시설 건설사업을 추진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민선 8기 출범 이후 주민들의 계속되는 반대와 재원 확보에 따른 부담 등으로 사업의 필요성과 타당성 등에 대한 재검토 의견이 대두됐다.

 

이에 시는 주민 의견을 수렴하는 차원에서 사업 추진을 중지하고 사업에 대한 전면 종합검토 용역을 실시했다.

 

지난해 11월 제출된 종합검토용역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현저한 출산율 감소와 인구 정체, 재활용 품목 확대 등으로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구리자원회수시설이 22년 이상 운영됨에 따라 노후해 대보수가 시급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와 함께 남양주시의 신규 자원화시설 설치사업과 서울 강동구의 자원순환센터 건립사업 등 인접 지자체의 폐기물 처리시설 설치사업이 추진됨에 따라 종합폐기물 처리시설 일괄 설치의 시급성이 상당 부분 약화됐고 시 재정 여건상 소각로와 음식물처리시설 증설, 대보수 등 일괄 사업 추진이 어렵다고 보고됐다.

 

시는 종합검토용역 결과를 토대로 폐기물처리시설 건설사업에 대한 우선순위와 추진계획을 시의회 시정질문에서 답변하는 등 추진 방향을 결정했다.

 

이에 따라 시는 우선 구리자원회수시설 대보수사업을 신속하게 추진하고 재활용품 선별장 현대화와 재활용품 중간처리장을 자원회수시설로 이전하기로 했다.

 

소각로 증설에 대해선 향후 생활폐기물 발생 추이와 구리토평2 공공주택지구, 사노동 개발사업 등 구리시 개발사업 추진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기로 했다.

 

특히 시는 개발사업이 추진된 이후 소각해야 할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하루 처리 용량 200t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될 때 소각로 증설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은 현재 강동구 음식물재활용센터에 위탁해 안정적으로 처리하고 있고 향후 준공 예정인 강동구 자원순환센터에서도 처리할 수 있는 물량이 확보돼 있어 자체 설치는 유보하기로 결정했다.

 

백경현 시장은 “폐기물의 발생 억제와 폐기물 자원화를 적극 추진해 주민 만족도를 높이고 미래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