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생 4명 중 1명 “같은 반 친구들 수업시간에 ‘쿨쿨’”

이미지투데이 제공
이미지투데이 제공

 

고교생 4명 중 1명이 같은 반 학생들이 수업 시간에 자는 편이라고 느낀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17일 정의당 이은주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교실 수업 혁신을 위한 고등학교 수업 유형별 학생 참여 실태조사’에 따르면 학생 4천340명 중 ‘같은 반 학생들이 수업시간이 자는 편인가’를 묻는 질문에 875명(20.2%)이 ‘그렇다’, 308명(7.1%)가 ‘매우 그렇다’고 답했다.

 

조사는 학생들의 수업 참여 실태를 분석, 고등학교 교실 수업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진행됐으며 지난해 6월 28일부터 7월 14일까지 교사 1천211명과 고등학교 1·2학년 학생 4천34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반 학생들의 수업 참여 정도를 묻는 설문 내용. 이은주 의원실 제공
반 학생들의 수업 참여 정도를 묻는 설문 내용. 이은주 의원실 제공

 

학교 유형별로 응답률이 차이를 보였다.

 

일반고 학생들의 경우 28.6%가 잔다고 동의한 것에 비해 자율고 17.9%, 외국어고 13.1%, 과학고 14.3%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과목 별로는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중 수학(29.6%)과 영어(28.9%) 시간에 잔다고 느낀다는 응답이 많았다. 이어 사회(27.3%), 국어(26.1%), 과학(23.3%) 순이었다.

 

성별로 보면 남학생(30.1%)이 여학생(24.1%)보다 많았다.

 

또 교사들을 대상으로 우리 학교 학생들이 수업 시간에 자는 편인지를 묻자 155명(12.8%)이 ‘그렇다’ 28명(2.3%)이 ‘매우 그렇다’고 답했다.

 

일반고 교사의 경우 15.9%가 답했으며, 특목고 교사는 9.5%, 자율고 교사는 4.7%이었다.

 

이들은 학생 참여형 수업에서 수업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학생의 낮은 학습 참여 의지’(73.2%)를 뽑았다. 학생 맞춤형 수업에서는 ‘맞춤형 학습을 위한 교육여건 부족’(73.7%)으로 수업이 힘들다고 응답했다.

 

송경원 정의당 정책위원은 이번 설문조사에 대해 “교실 수업의 여러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기에 의미있는 조사”라고 평가했다.

 

다만 “‘잠자는 교실’의 규명이 명확히 이뤄지지 않아 학생들이 얼마나 자는지, 누가 자는지, 왜 자는지 등이 밝혀지지 않은 점은 아쉬운 지점”이라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