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하 경과원)이 민선 8기 경기도 산하기관 최초로 ‘종이 없는 행정’ 구현에 나섰다.
경과원은 22일 전자 행정 시스템에 대한 시범 운영을 거쳐 ▲디지털 행정 실현 ▲경기 RE100(사용 전력 100% 재생 에너지 대체) 모델 기관 도약 등을 위해 올해 1월부터 종이 없는 행정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앞서 도 기후환경에너지국을 시작으로 도가 종이 없는 사무실에 대한 시범 사업을 운영(경기일보 5일자 1면)한 데 이어 경과원 역시 탄소중립 실현에 동참한 것이다.
이번 행정 도입으로 경과원은 연간 2억원의 비용을 절감하고 A4용지 80만장을 절약해 약 2천300㎏의 탄소배출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또 행정업무 처리 시간을 한 건당 평균 6일에서 3일 이내로 줄일 것으로 전망했다.
이외에도 경과원은 탄소중립을 위해 ▲정보시스템 클라우드 전환 ▲디지털 사인물 운영 ▲일회용품 제로화 등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9월 행정안전부의 ‘클라우드 활용모델 사업’에 도 산하기관 최초로 선정된 경과원은 간부회의, 업무보고 등 주요 회의를 태블릿 PC로 활용하고 있다. 이와 함께 광교·판교테크노밸리 건물 내 9개의 ‘디지털 사인물’을 설치, 무분별한 현수막 제작을 방지하고 있다. 공공부문 일회용품 제로화를 추진하기 위해 전 부서가 자체 점검 항목을 만들어 사무실 내 일회용품 반입을 금지하는 등 구체적인 계획도 이행하고 있다.
강성천 경과원장은 “업무 환경의 디지털화로 재성에너지 사용을 확대하고 에너지를 절감하는 등 디지털 경과원 구축에 앞장설 것”이라며 “이를 토대로 올해를 RE100 성과의 원년으로 삼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