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첨단기업 상당수, 수도권 입지 원해”

경기연구원 산업 입지 결정 요인 그래픽. 경기연구원 제공
경기연구원 산업 입지 결정 요인 그래픽. 경기연구원 제공

 

정부가 국가 첨단전략산업으로 지정한 4개 산업(반도체·이차전지·디스플레이·바이오)과 지정을 검토 중인 2개 산업(미래차·로봇) 업체의 상당수는 관련 기업 접근성 확보를 위해 수도권 입지를 원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지난해 10월 6개 산업 협회 회원사 334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를 토대로 이 같은 내용의 ‘국가 첨단전략산업 활성화를 위한 개발제한구역 합리적 관리 방안’을 발간했다고 30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 기업 중 75% 이상이 수도권에 있었으며 경기도 소재 기업이 가장 많았다.

 

또 각 기업이 시설별 입지를 결정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에 대해서는 본사, 생산 시설, 연구시설 모두 ‘관련 기업 접근성’을 꼽았고 ▲본사는 기반 시설 접근성을 ▲생산 시설은 이송 체계상 수익률 극대화를 ▲연구시설은 용인한 인력 유치 등을 지목했다.

 

기반 시설과 관련 기업, 인력 유치가 용이하다는 이유로 많은 기업들이 수도권 입지를 선호한다는 것이다.

 

또 ‘타지역 이전 기회가 생긴다면 이전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엔 94.9%가 ‘이전 의향이 없다’고 밝혔지만 ‘이전 의사가 있다’고 답한 17개 기업(5.1%) 중 76.5%는 수도권으로의 이전을 희망했다.

 

하지만 경기연구원은 기업의 수도권 입지 수요에도 불구하고 개발제한구역, 상수원보호구역 등 수도권 산업 입지 규제 심화로 발목이 잡히고 있다고 진단했다.

 

권진우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활발한 기업 활동으로 국가 경제 성장을 이루려면 수도권 중첩 규제를 완화해 수도권 입지 수요를 충족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