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 듣기 등 6개 분야에서 사람 능력 뛰어넘는 기술 “어떤 분야의 AI가 등장할지 몰라도, 성장세는 더욱 빨라질 것”
“앞으로 인공지능의 발전 속도는 기하급수적으로 빨라질 것입니다.”
김남수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1일 경기일보 대회의실에서 ‘인공지능의 현주소’를 주제로 강연을 펼쳤다.
김 교수는 인공지능(AI) 개념에 대해 질문을 던지며 강연을 시작했다. 그는 “기계는 인간보다 더 정확하게 정보를 기록하고 끄집어낼 수도 있다”며 “AI 등장 이전의 컴퓨터 한 대도 전 세계 사람들의 모든 정보처리 능력을 합쳐도 따라가지 못하는데, 지금의 AI는 그보다 훨씬 더 수준이 올라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다만 사람의 지능을 표방하는 기계인 인공지능이 등장하며 사람들이 긴장하고 있다”며 “위기감의 주된 배경은 인공지능으로 내 일자리가 없어질 수도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김 교수는 AI의 개념에 대해 ‘보고, 듣고, 말하고, 읽고, 쓰고, 행동하는(See, Listen, Speak, Read, Write, Act)’ 6개 분야에서 사람의 능력을 훌쩍 뛰어넘는 기술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갤럭시 S24의 ‘서클 투 서치’ 등 여러 AI 기술에 대해 풍부하게 사례를 들며 이해를 도왔다. 또 그는 ‘Open AI’사의 ‘챗 GPT’ 등을 소개하며, ‘랭귀지 모델’의 AI 발전 속도에 대해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랭귀지 모델의 AI는 엄청나게 많은 데이터를 학습할 수 있는 등 성능이 월등히 뛰어나다”며 “특히 챗 GPT에서 GPT4로, GPT4에서 GPT4-터보에 이르기까지 성능이 10배씩 더 좋아졌는데, 걸리는 시간은 불과 6개월밖에 안 될 정도로 빨랐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김 교수는 영상처리 분야의 AI 기술이나 자율주행 자동차 등에 관해서도 소개하며, 현재 AI 기술이 도달해 있는 단계를 설명했다.
김 교수는 “지금까지 AI는 놀랄 정도로 빠른 속도로 성장해 왔다”며 “앞으로도 어떤 분야의 AI가 등장할지 모르지만, 이 같은 성장세는 더욱 빨라질 것”이라고 전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