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인구 ‘뚝’... 2026년 초·중·고교생 ‘500만명’ 무너진다

초교 입학생 30만명도 무너져
공립학교 교원 4천명 감축 예정
교원 관련 일부 개정안 입법예고

해당 기사와 관련 없음. 클립아트코리아
해당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클립아트코리아

 

저출생 현상이 이어지면서 불과 2년 뒤엔 우리나라 초·중·고교생 수가 500만명을 밑돌 것으로 추산됐다. 특히 올해 30만명대로 떨어진 초등학교 1학년 취학 아동 숫자는 2년 후에 20만명대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12일 한국교육개발원(KEDI)의 ‘2024~2029년 학생 수 추계’ 자료를 보면 전국 초·중·고교생 수는 올해 513만1천218명에서 2026년 483만3천26명으로 줄어 500만명 선이 무너질 것으로 분석된다. 또 심화되는 저출생 현상으로 2029년 초·중·고교생 수는 427만5천22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같은 학력인구 감소세는 초등학교에 취학하는 1학년 학생 숫자에서 확연히 드러난다. 올해 초등학교 1학년 학생 수는 34만7천950명으로 예상되는데 내년에는 31만9천935명, 오는 2026년에는 29만686명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학령인구가 빠르게 감소하면서 올해 공립학교 초·중·고교 교원 정원도 4천명 이상 줄어들 예정이다.

 

정부는 최근 초·중등 공립학교 교원 정원을 4천296명 감축하는 내용의 ‘지방교육행정기관 및 공립의 각급 학교에 두는 국가공무원의 정원에 관한 규정’ 일부 개정령안에 대한 입법예고를 마쳤다.

 

개정안에 따르면 공립 초등학교 교원 정원은 14만8천683명에서 14만6천559명으로 2천124명 줄어든다. 또 중·고등학교 교원 정원은 14만881명에서 2천172명 감축된 13만8천709명이다.

 

한편 학령인구 감소의 영향으로 경기지역 평준화 지역의 일반고 신입생 수는 5만5천176명으로 지난해(5만8천632명)보다 5.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