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미래사업 종잣돈 ‘국비 5조3천억’ 확보 총력

‘2025년 추진계획’ 마련… 市 ‘백년대계’ 초석
민선 8기 주요 추진과제·정부 정책 연계 모색
기술 육성·디지털 대전환… ‘전략산업’ 집중
감염병전문병원 유치 등 현안 ‘돌파구’ 마련

인천 남동구 구월동에 있는 시청 본관 전경. 시 제공
인천 남동구 구월동에 있는 시청 본관 전경. 시 제공

 

인천시가 2025년 5조3천억원 이상의 국비 확보를 목표로 정부의 미래산업 육성 및 디지털 전환 등에 발 맞춘 사업을 발굴한다.

 

시는 최근 ‘2025년 국비 확보 추진계획’을 마련하고 지난해 목표액인 5조원 대비 6% 상향한 5조3천억원 이상의 국비 확보에 나선다고 14일 밝혔다.

 

시는 우선 민선 8기 주요 추진과제를 중심으로 정부 정책 방향과 연계한 시책 사업을 마련한다. 또 인천의 경제 성장 도약을 위한 미래 기술 육성과 디지털 대전환 등 전략산업 분야 사업도 발굴할 예정이다. 반도체와 인공지능(AI), 바이오, 디지털, 도심항공교통(UAM) 등 신성장 사업의 국비 확보를 위한 로드맵도 마련한다. 여기에 시민의 삶의 질 향상과 균형도시 건설을 위한 사업 발굴에도 나선다. 시는 현재 철도망 구축과 정주여건 개선, 공원 정비 등 원도심과 신도심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한 사업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이와 함께 시는 대규모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투자사업심사 등의 사전 절차를 살펴 본다. 철도와 도로 등 대규모 SOC사업 중 국비 집행률이 60% 미만인 사업을 집중 관리하기 위해서다.

 

특히 시는 2024년 국비 사업 중 미반영 및 추가 증액이 필요한 사업들을 중심으로 국비 책정 논리를 탄탄하게 마련할 예정이다. 시는 인천 감염병전문병원 유치와 공단고가교~서인천 나들목(IC) 혼잡도로 개선, 인천상륙작전기념주간 행사, 서해5도 정주생활지원금 인상, 인천1·2호선 통합 무선망 구축 등을 살필 예정이다. 이 밖에도 시는 중앙부처 업무보고 등을 활용해 인천의 여건에 맞는 공모사업 발굴 및 대응에 나선다.

 

이를 위해 시는 국비 확보 전담 책임관을 운영하고 정부 예산안 편성과 예산 심사 단계별 대응에 나설 예정이다. 시는 오는 4월30일까지 국비 사업 발굴 보고회 등 국고보조금 신청에 나선다. 오는 5월에는 부처에서 기재부로 예산 반영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어 6~8월의 정부안 심의를 거쳐 9월 국회 제출 전 까지 단계별 대응에 나선다. 시는 오는 27일부터 4월까지 총 3회에 걸쳐 국비 확보 발굴 보고회 등을 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올해 5조4천851억원의 국비를 확보하면서 지난해 대비 4천200억원 증가한 규모의 국비 확보를 이뤄냈다”며 “서울 등 다른 광역 시·도 평균 이상의 증가율을 보였다”고 했다. 이어 “올해 정부의 예산안 반영과 국회의 예산 심의 과정에 적극 대응, 내년 주요 사업들의 국비 확보에 성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