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등급 기준 성적 유지 49.1%, 성적 향상 39.9% “실패 사례 간과해선 안돼...본인 진단이 우선”
지난 2년 동안 2~4등급대를 기록한 재수생 2명 중 1명은 성적이 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입시업체 진학사에 따르면 2023·2024학년도 수능 성적을 모두 입력하고 2~4등급을 맞은 ‘N수생’ 3만2천473명의 성적을 분석한 결과, 2023학년도 대비 성적(평균 등급대)이 오른 학생은 1만5천934명(49.1%)이었다.
성적이 1등급대였던 학생들 4천230명 중 3천386명(80.0%)은 2024학년도 수능에서도 1등급을 유지했다.
전년도에 2등급대를 기록했던 수험생 8천309명 중 2024년에 1등급으로 상승한 수험생은 3천313명(39.9%)에 그쳤고, 나머지인 4천76명(49.1%)은 2등급을 그대로 유지했다.
3등급대 수험생 1만1천736명 중 2년 연속 동일 등급대를 유지한 수험생의 비율은 41.9%, 2024년에 1~2등급으로 성적이 오른 학생은 1등급 7.3%, 2등급 40.6% 등 47.9%였다.
탐구 영역의 경우 등급을 올린 수험생의 비율이 가장 높은 영역인 것으로 조사됐다.
2023년 탐구 영역 성적이 2등급대였던 학생 중 40.1%가 1등급대로 올랐고, 3등급대 학생은 54.8%, 4등급대 64.7%가 등급 상승을 이뤘다.
탐구 영역 외에 성적 향상자가 많았던 과목은 등급대에 따라 달라졌다.
2~3등급대에서 등급 상승이 많은 영역은 탐구>수학>국어>영어 순이었고, 4등급대에서는 탐구>국어>영어>수학 순으로 나타났다. 5~6등급대에서는 탐구>영어>국어>수학 순으로 등급 상승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재수(N수)를 시작할 때는 누구나 다음 수능에서 더 나은 결과를 얻기를 기대하지만 성공하지 못한 사례도 많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며 “재도전을 결심했다면 학원이나 인강을 알아보기 전에 학업수준, 학습성향 등 본인에 대한 명확한 진단부터 해볼 것을 권한다”고 조언했다.
또 “다음 수능까지의 장기 레이스를 잘 펼치고 마지막까지 뒷심을 발휘할 수 있을지에 대해 충분한 각오와 준비 또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