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평화경제특구 구체화 작업 '첫단추'

市, 연구용역 착수보고회 개최
입지 규모·특화전략 등 밑그림
경제효과 기대… “행정력 올인”

김경일 파주시장이 19일 시청 회의실에서 평화경제특구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주재하고 있다. 파주시 제공
김경일 파주시장이 19일 시청 회의실에서 평화경제특구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주재하고 있다. 파주시 제공

 

파주시가 접경지역 남북한 협력 첨단산업·관광단지 조성을 골자로 하는 제1호 평화경제특구 유치에 본격적으로 시동을 걸었다.

 

시는 지난해부터 ‘평화경제특구 왜 파주인가’ 관련 심포지엄을 연 데 이어 평화경제특구 연구용역 착수 등 선제 대응에 나서고 있다.

 

19일 파주시에 따르면 시는 이날 회의실에서 평화경제특구 조성 구체화 방안 마련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보고회에는 김경일 시장과 실·국장, 경기도 통일기반조성과장, 경기연구원 연구원 등이 참석했으며 연구용역 사업 수행 책임자인 이영성 서울대 산학협력단 교수의 ‘파주시 평화경제특구 조성 구체화 방안 마련 연구용역’에 대한 과업 수행계획과 구상 방향을 듣고 논의했다.

 

image
파주시가 지난해 개최했던 평화경제특구 왜 파주인가 포스터. 경기일보DB

 

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최적의 입지 규모 검토, 유치산업 특화 전략 등 평화경제특구 조성을 위한 구체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용역 결과에 따라 ‘파주시 평화경제특구 자체 구상(안)’을 수립해 향후 진행될 통일부, 국토부, 경기도 등 상급 기관의 평화경제특구 지정 절차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평화경제특구 유치 시 파주에 대규모 산업단지 및 관광특구를 조성할 수 있으며 사업시행자 및 입주 기업에는 국세⋅지방세 세제 혜택 및 기반시설 지원 등 각종 인센티브가 제공돼 앵커 기업 유치, 지역 경제발전 및 일자리 증가 등 수 많은 경제유발효과가 예상된다.

 

김경일 시장은 “평화경제특구법 제정은 오랫동안 염원해 온 결실이자 100만 자족도시를 준비하는 파주에 찾아온 귀중한 기회”라며 “명실상부 평화를 대표하는 도시 파주는 평화가 곧 경제인 새로운 길을 열어 나가기 위해 평화경제특구 조성에 온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접경도시에 조성하는 평화경제특구법은 국회에 법안이 발의 된 지 17년 만인 지난해 말 통과돼 공포됐다. 지난 2015년 경기연구원 조사 결과 평화경제특구 경제효과에 대해 조성 시 도내 생산유발효과 6조원, 일자리 창출 5만4천명 등으로 추산했다. 전국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는 9조원, 일자리 창출은 7만3천명에 이르는 것으로 전망됐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