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주택 매매 거래 74.2%가 아파트…2006년 이후 최고치 단독주택, 빌라 등 ‘비(非)아파트’ 거래 비중은 역대 최저
지난해 전국 주택 매매 시장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은 한국부동산원의 주택유형별 매매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 55만5천054건 중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41만1천812건으로 전체 거래 비중의 74.2%라고 21일 밝혔다.
아파트 매매 거래비중은 지난 2020년 73.0%, 2021년 65.9%, 2022년 58.7% 등 하락세를 보이다가 지난해 상승세로 전환됐다.
전국에서도 아파트 매매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세종시로 주택 매매 거래량 5천606건 중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5천297건으로 아파트 비중이 94.5%을 기록했다.
이어 대구 89.4%, 광주 89.3%, 울산 89.0% 등이 아파트 거래 비중이 높았고 경기는 75.5%, 인천 67.5%의 거래 비중을 보였다.
반면 단독(단독주택·다가구주택)과 빌라(연립주택·다세대주택) 등 ‘비(非)아파트’ 매매 거래량과 거래비중은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았다.
지난해 단독주택·다가구주택 매매 거래량은 5만7천649건으로 전체 거래의 10.4%, 연립주택과 다세대주택 등 빌라 매매 거래량은 8만5천593건으로 15.4% 비중을 기록했다.
비아파트 수요는 2022년 아파트 가격 급등에 따른 피로감에 수요가 몰리며 단독 15.8%, 빌라 25.5% 등 매매 거래비중이 41.3%까지 치솟았지만 1년 만에 비중이 크게 줄었다.
이에 대해 경제만랩 관계자는 “전세보증금 미반환 사고를 비롯해 단독·빌라 기피 현상으로 아파트 선호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는 분위기”라며 “아파트 가격이 주춤하고 부동산 규제도 완화되면서 수요자들이 다시 아파트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단독과 빌라의 경우 아파트와 비교해 환금성이 떨어지는데다 전세사기로 전세와 매매 수요 모두 줄었다”며 “당분간 아파트와의 양극화 현상이 더욱 커질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