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특례시의 시청사는 너무 낡았다. 지은 지 40년 넘은 건물은 안전진단 결과 D등급을 받을 정도로 노후했다. 사무공간이 크게 부족해 부서가 여기저기 흩어져 있고, 주차공간도 턱없이 부족하다. 공무원이나 시민 모두 극심한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덕양구 주교동에 위치한 고양시청사(본관)는 1983년 건립됐다. 고양은 군(郡) 단위 지자체에서 시(市)로 승격됐고 2022년 특례시로 승격됐지만, 시청사는 군청 시절에 머물러 있다. 시청 본관과 31년 된 신관(시의회 건물) 등을 합한 건물 연면적은 1만4천789㎡로 지자체 등 관공서 법적 기준면적(2만8천916㎡)의 51.1%에 불과하다. 주차공간은 143면밖에 안 된다. 용인특례시청사는 연면적 7만6천214㎡, 주차 978면이고, 성남시청사는 연면적 7만5천611㎡, 주차 1천108면이다. 인구 수가 비슷한 이들 지자체와 너무 차이가 크다.
고양시청사의 가장 큰 문제는 사무공간 부족이다. 60개 본청 부서 중 70%인 42개 부서가 11개의 외부 건물에 흩어져 있다. 본관에서 300m 떨어진 곳도 있다. 공무원들의 업무효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민원 때문에 온 시민들은 사무실 위치를 찾기 어렵다는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건물을 빌려쓰다 보니 임대료 등 제반 비용이 연 12억원씩 지출된다. 낡은 건물엔 엘리베이터가 없다. 장애인과 노인 등 교통약자들은 방문이 거의 불가능하다. 천장 누수에다 동파로 수돗물이 안 나오기도 한다. 본관은 2000년 실시한 안전진단에서 D등급을 받았다. 최근 5년간 건물 보수 및 안전보강에 25억원 등 35억원 넘는 예산이 투입됐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청사를 신축해야 한다. 2018년부터 신청사 논의가 있었다. 2020년에 주교동 제1공영주차장 부지를 신청사 건립 예정지로 확정했다. 연면적 7만3천96㎡ 규모로 예상 공사비는 2천969억원이었다. 신청사 설계공모 당선작이 발표됐고, 내년 10월 완공을 목표로 했다. 하지만 신청사는 재원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며 늦어졌고, 비용은 4천200억원으로 불었다. 경기 침체로 세수가 줄어든 상황에서 예산 마련은 더 어려워졌다.
다행히 해법이 생겼다. 기부채납받은 백석동 요진업무빌딩으로 옮기면 신청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시는 2016년부터 요진개발과 소송을 벌여 2022년 11월 최종 승소했고, 지난해 4월 준공된 업무빌딩을 5월에 소유권을 넘겨 받았다. 연면적 6만6천190㎡ 규모다.
이동환 시장이 주교동 건립 계획을 변경해 요진업무빌딩으로 이전한다고 밝혔다. 변화된 상황을 고려한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방안이다. 재정이 어려워 신축이 거의 불가능한데 새로운 선택지가 생겼다. 건립 비용의 7분의 1 수준인 599억여원으로 새 청사를 마련할 수 있는데 반대할 이유가 없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