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올해 광역버스 16개 노선에 친환경 대용량 2층 전기버스 50대를 도입한다.
특히 김포골드라인 교통환잡 완화를 위해 김포시에 10대를 운행한다.
경기도는 서울을 오가는 도민 교통편의를 위해 친환경 전기버스 50대를 도입, 총 146대를 운영한다고 6일 밝혔다.
도는 지난 2021년부터 친환경 2층 전기버스를 광역버스 노선에 도입, 운행하고 있다.
올해 도입될 50대를 지역으로 보면 김포와 서울역을 오가는 8600번 노선 4대를 포함, 김포시에 2층 버스 총 10대를 투입한다. 도는 김포골드라인 교통혼잡 완화 등 김포시민의 교통 불편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수원과 용인에서 각각 강남, 양재, 사당역을 오가는 3008번 노선 4대, G5100번 노선 5대, 5000번 노선 5대 등을 전기충전소 설치 상황과 차량 제작 일정 등에 따라 연내 순차 도입할 예정이다.
2층 전기버스는 국내 기술로 만들어진 차량으로 1층 공간 11석과 2층 공간 59석을 배치, 최대 70명이 탑승할 수 있다. 교통약자의 이용 편의를 위해 저상버스 형태로 제작됐다. 1층에는 접이식 좌석 3개를 배치, 휠체어 2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했다.
2층 전기버스는 기존 천연가스·경유 등 내연기관 차량과 달리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없는 친환경 광역교통수단이다. 소음·진동도 기존 차량에 비해 현저히 적어 이용객에게 더 쾌적한 교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상수 경기도 교통국장은 “전기·저상버스 도입 확대는 수도권 광역버스 입석 수요 해소에 큰 기여를 할 뿐만 아니라 대기질 개선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수송력과 친환경성을 고루 갖춘 친환경 2층 전기버스로의 전환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도민의 안전하고 쾌적한 출·퇴근 편의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