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면 우려 인천 ‘광역 I-패스’...교통비 절감 미비

‘인천 I-패스’ 比 활용성·절약 효과↓
관계자 “도입·평가 후 안정화 예정”

21일 오전 인천 부평구 경인국철 1호선 백운역 게이트에 기후동행카드 이용이 불가하다는 내용의 스티커가 붙어 있다. 황남건기자
23일 오전 인천 부평구 경인국철 1호선 백운역 게이트에 기후동행카드 이용이 불가하다는 내용의 스티커가 붙어 있다. 황남건기자

 

인천시민들이 서울시의 기후동행카드를 연계한 광역버스 전용 교통카드인 인천형 ‘광역 I-패스’를 외면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전국에서 사용이 가능한 ‘인천 I-패스’보다 활용 범위가 좁은 데다, 교통비 절약 효과도 미비하기 때문이다.

 

23일 인천시에 따르면 오는 5월부터 인천 I-패스를, 8월께부터 광역 I-패스를 각각 도입할 예정이다. 인천 I-패스는 사용액의 20% 캐시백을 지원하고, 광역 I-패스는 1개월 8만원 정기권으로 인천에서 서울을 오가는 광역버스를 이용할 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도입 전부터 광역 I-패스의 실효성에 의문이 커지고 있다. 광역 I-패스는 광역버스에서만 사용할 수 있지만, 인천 I-패스는 광역버스는 물론 전국 지하철·시내버스 등 모든 대중교통에서 쓸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광역 I-패스는 시민들의 교통비 절약 효과도 낮다. 광역버스의 일반 성인 요금인 3천원으로 계산하면 편도 26번 이용할 때까지 인천 I-패스는 1만5천원 이상의 캐시백이 쌓이지만, 광역 I-패스는 되레 2천원 손해다. 또 인천 I-패스를 이용하는 청년 및 저소득층은 캐시백 비율이 30~53%이어서 최대 4만원 이상의 캐시백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광역버스 이용 이후 인천에서 지하철이나 시내버스로 환승할 경우엔 광역 I-패스보다 인천 I-패스의 혜택이 클 수밖에 없다.

 

인천시도 광역 I-패스의 이용률이 낮을 것으로 보고, 관련 예산을 3억원만 반영했다. 인천 I-패스 예산은 180억여원이다.

 

유정복 인천시장과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해 11월17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인천시-서울시 교통현안 해결을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협약을 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 본문과 구체적인 관련 없음. 인천시 제공
유정복 인천시장과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해 11월17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인천시-서울시 교통현안 해결을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협약을 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 본문과 구체적인 관련 없음. 인천시 제공

 

이 때문에 지역 안팎에선 인천시가 서울시의 기후동행카드 정책에 참여하는 모양새만 냈을 뿐, 시민들에게 큰 혜택을 주지 못하는 정책으로 전락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김진유 경기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교수는 “인천시민들은 대부분 광역버스만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지하철, 시내버스 등 다양한 대중교통 수단을 환승·이용하기에 광역 I-패스가 아닌 인천 I-패스를 선택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했다. 이어 “되레 인천 I-패스는 경기도의 더(The)경기패스에 가깝다”며 “서울 등의 정책을 연계할 것이 아니라, 차라리 수도권 교통 정책 통합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인천시 관계자는 “시민들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준다는 차원에서 이 같은 교통 지원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광역 I-패스 도입 후 평가 등을 거쳐 정책을 확대하거나 줄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