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대] 비만 사회적 비용 16조

이연섭 논설위원 yslee@kyeonggi.com
기자페이지
이연섭 논설위원

다이어트는 세계인의 공통된 관심사다. 지구촌 곳곳에서 만병의 근원인 ‘비만과의 전쟁’이 한창이다. 아프리카 등에선 굶어죽는 사람이 수두룩한데 참으로 불공평하다.

 

멕시코는 OECD 국가 중 비만 인구 비율이 가장 높다. 세계 최대 비만국이란 오명을 벗기 위해 멕시코 정부는 운동을 하면 보상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 일례로 대중교통 승강장 등에 스쿼트 운동기구를 설치해 스쿼트를 10번 하면 대중교통 무료 승차권을 준다. 이렇게 해서라도 운동을 시키려는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세계 비만 인구가 2022년 기준 10억3천만명에 이른다고 발표했다. 80억 세계 인구 가운데 8명 중 1명이 비만이라는 얘기다. 당초 예상했던 2030년보다 8년이나 빨라졌다고 한다. 때문에 세계 80여개국에서 비만세 형태의 세금을 부과하고 있다.

 

비만 문제가 심각한 곳은 선진국이 아닌 중저소득 국가다. 몸에 좋은 유기농 음식보다 비교적 값싼 고열량의 가공식품을 주로 먹다 보니 영양 불균형 상태가 나타나는 것이다. 소득이 적을수록 비만율이 높게 나타나는 현상은 미국 내에서도 고착화됐다. 비만의 양극화 현상이다.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비만 치료제들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비만 해소에 도움이 되긴 하지만 비싼 약값 때문에 비만 양극화를 더 부추길 것이란 전망이다. 세계비만재단은 2035년까지 비만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우리 돈 약 5천220조원에 이를 것이라고 예측했다.

 

우리나라도 비만 문제가 심각하다. 비만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2021년 기준 15조6천382억원으로 연평균 7% 수준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 비용은 흡연(11조4천206억원), 음주(14조6천274억원)를 넘어서며 건강보험에 부담이 되고 있다.

 

비만은 치료하지 않을 경우 각종 합병증을 유발하고 사망률을 증가시킨다. 조기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비만은 국가가 관리해야 하는 만성 질환이다. 개인·사회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비만 관리에 대한 급여화가 필요하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