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피시설 아닌 랜드마크” 인천시, 자원순환센터 확충 총력

2026년 매립지 금지 대책 마련 속도
유정복 시장, 하남 유니온파크 방문

유정복 인천시장이 2일 지역 구청장들과 경기도 하남 유니온파크 방문해 관계자의 운영현황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시 제공
유정복 인천시장이 2일 지역 구청장들과 경기도 하남 유니온파크 방문해 관계자의 운영현황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시 제공

 

인천지역 구청장들이 자원순환센터(소각장) 건립 등 오는 2026년 수도권매립지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에 따른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유정복 시장과 김찬진 동구청장, 이영훈 미추홀구청장, 이재호 연수구청장, 박종효 남동구청장, 강범석 서구청장 등은 2일 경기도 하남 유니온파크를 방문했다. 혐오시설로 꼽히는 소각장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각 지역 특성에 맞는 소각장 확충 방안을 찾기 위해서다.

 

하남 유니온파크는 하루 평균 48t의 생활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소각장 등이 지하에 있다. 지상엔 다목적 체육관과 게이트볼장 등 주민 편익시설을 비롯해 물놀이 시설과 유니온타워(전망대) 등이 있다. 이 때문에 국내 폐기물처리시설 모범사례로 꼽힌다.

 

이날 유 시장과 구청장들은 하남 유니온파크의 소각처리 과정을 확인하고, 유니온타워에 올라 주민 편익 시설 등을 살펴봤다.

 

유 시장은 “이젠 소각장이 더 이상 기피시설이 아니라 지역의 발전을 이끄는 랜드마크 시설”이라고 했다. 이어 “앞으로는 군수·구청장들을 비롯해 주민들과도 함께 소각장이 친환경 시설이라는 이해를 높이도록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시는 소각장 건립 등 폐기물 정책에 대한 협의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시는 최근 10개 군·구가 참여하는 첫 실무협의회를 열고 폐기물 자체 처리 대책을 제출받기도 했다. 시는 다음주 2차 회의를 열고 군·구의 자체 대책에 대한 추가 논의 등에 나설 계획이다.

 

다만 이번 소각장 견학에 현재 소각장 확충이 필요한 김정헌 중구청장과 차준택 부평구청장, 윤환 계양구청장 등은 자체 일정 등을 이유로 불참했다. 앞서 이들은 이달 말에 이뤄질 해외 소각장 벤치마킹 출장에도 참여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내비치는 등 소각장 건립 현안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현재 중구는 소각장 입지 선정 단계에서 주민 반대로 논의가 멈춰 있고, 부평·계양구는 경기 부천시와 광역소각장을 공동 활용하는 방안이 무산한 뒤 소각장 건립 논의가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시 관계자는 “일부 구청장이 참여하지 않아 아쉽지만, 현재 10개 군·구 모두가 참여하는 실무협의는 차질 없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로 인천에서 쓰레기 대란 사태가 벌어지지 않도록 대책 마련에 속도를 내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앞으로 시민들과 함께하는 소각장 인식 개선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